사용자 10억 명을 돌파한 중국의 모바일 메신저 공룡 위챗(wechat·微信)이 서방 국가들에게서 점차 기피와 경계의 대상이 돼 가고 있다.
구글·페이스북 등을 원천봉쇄한 중국 공산당의 인터넷 쇄국책에 힘입어 세계적 규모의 메신저로 성장했지만, 중국 정부와의 지나친 밀착 관계가 서방 국가들의 경계심을 더욱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호주 국방부는 군병력의 위챗 사용을 금지시키고 국방부 모바일 기기에서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홍콩의 영자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5일 보도했다. 호주 국방부가 위챗 사용을 금지시킨 이유는 스파이 활동에 대한 우려때문이었다. 호주 국방부 대변인은 “호주 국방부의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자격을 취득해야 하는데 위챗은 이런 자격들이 부족했다”며 이유를 설명했다. 반면 페이스북은 제한적으로 사용을 허가했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남중국해와 중국 스파이 문제 등 양국 사이의 갈등 고조 상황이 영향을 미친 정치적 판단이라며 호주 정부에 대한 비난에 나섰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영문 자매지 글로벌타임스는 “‘편협한 국수주의’(Narrow nationalism)가 호주 국방부의 위챗 사용금지라는 결정을 내리게 했다”며 “이같은 조치는 중국인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고 양국 관계를 긴장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하지만 호주 국방부의 결정이 꼭 최근 불거지고 있는 양국 사이 갈등 때문 만이라고 단정 짓기란 쉽지 않아 보인다. 러시아는 이미 지난해 전 러시아 영토 내에서 위챗의 접속을 원천 차단시켰다. 러시아 통신 당국은 위챗이 온라인 정보를 배포하는 회사에 요구하는 러시아 당국의 등록 의무를 위반한 혐의로 접속금지 목록에 오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위챗은 중국 시장에서 메신저와 모바일 결제수단인 위챗페이 성공을 바탕으로 야심차게 미국 시장에도 진출했지만 결과는 참패였다.
중국의 모바일 생활을 선도한다는 위챗이 이처럼 중국 밖만 나가면 곱지 않은 시선을 받는 이유는 중국 정부와의 지나친 밀착관계 때문이다. 위챗이 지금과 같은 성공을 거둔 원인으로 중국 내에서 구글과 페이스북, 유튜브 등 세계적인 모바일 업체들의 서비스를 금지시킨 중국 정부의 정책이 꼽히고 있다.
위챗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국 최대 인터넷 기업 텐센트(騰迅)의 마화텅(馬化騰·포니 마) 회장은 지난 5일 베이징(北京)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지난달 월간 활성 이용자수가 10억 명을 넘었다고 밝혔다. 사실상 중국성인 대부분이 위챗 계정 하나씩은 가지고 있다는 말이 된다. 강력한 인터넷 통제정책을 내세우고 있는 중국에서 업계 1위 모바일 메신저를 운영한다는 것은 검열당국과의 긴밀한 공조가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미 위챗에서는 공산당이나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을 비하하는 듯한 단어들은 검색도 전송도 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문자 뿐만이 아니라 시 주석을 풍자하는 디즈니의 인기 캐릭터 ‘곰돌이 푸’ 사진까지 골라내 개인간 전송을 막는 놀라운 기술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위챗은 더 나아가 국가가 발급하는 주민증을 대체하는 전자신분증 서비스를 시범 제공하며 공산당이 14억 중국인들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까지 구축하고 있다. 이미 중국 내에서도 위챗의 사생활 보호와 정치적 중립에 대한 신뢰는 바닥에 떨어진지 오래다. 민영자동차 회사인 지리(吉利)자동차의 리수푸(李書福)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중국에서 사생활 보호는 사실상 없다”며 “이제 마화텅이 우리의 위챗을 매일 들여다볼 것”이라고 비판해 텐센트측과 격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문제는 위챗의 이같은 불신과 의혹이 단순히 위챗 뿐만 아니라 중국이 개발한 기술과 기업들에게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말 미군은 "사이버 취약성"을 이유로 업계 세계 최고인 중국의 DJI가 만든 무인 항공기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독일은 에어버스와 보잉 등 항공기 제작사에 핵심 부품을 제공하는 코테자(Cotesa)의 중국 기업 인수에 제동을 거는 등 중국기업들의 문어발식 기업 인수를 제한하는 국가들도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 11일 개헌안 통과로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집권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서방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중국기업들에 대한 불신은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정부를 등에 업고 승승장구 했던 중국 기업들이 정부때문에 고심에 빠질 날이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