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서울시-시교육청, 초중고 미래교육에 4년간 1.1조 투입

서울시-시교육청, 초중고 미래교육에 4년간 1.1조 투입

 

서울시와 서울시교육청이 유·초·중·고 교육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4년간 1조889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노후된 학교 화장실 개선과 CCTV 교체, 생존수영 교육과 교실환경 개선 등 36개 사업을 추진한다.

시와 시교육청은 16일 이같은 내용의 '제2기 교육청-서울시 교육협력사업, 미래교육도시 서울('18~'21)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지난 2014년 처음 시작된 '미래교육도시 서울' 협력사업은 창의성 등 역량 발달 지원과, 미래 과학과 진로 체험 기회 확대, 안전하고 차별 없는 교육환경 조성, 지역과 소통·협력하는 평생학습 기반 강화 등 4대 분야로 추진된다.

2기 교육협력사업은 창의적·감성적 역량을 키우는 미래교실을 조성에 주력하기로 했다. 지난해 시범 시행된 '꿈을 담은 교실(매년 33개교씩 총 132개교)'은 올해 한옥형 교실, 개방·연합형 교육과정 지원 공간 등으로 확대된다. 스마트 교육이 활성화된 미래 사회를 대비해 IT 정보기술을 활용한 '미래형 교실(매년 10개교씩 총 40개교)' 구축에 14억원을 투입한다.

낡은 책걸상을 바꾸고 천정과 바닥, 출입문 등을 개선하는 사업도 학교 132곳을 선정해 404억원을 들이기로 했다. 학교 건물 내진율을 현재 36.9%에서 4년 사이 54.1%로 높이고, 2020년부터 의무화된 초등학생 생존수영 교육을 한강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교육시설을 구축한다. 한강 생존수영 교육은 해 올해 1만여명부터 시작해 2021년에는 2만5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노동인권교육, 성평등교육도 지금보다 예정이다.

학교급식에 제공되는 농·축·수산물 뿐 아니라 된장, 간장, 고추장, 식용유 같은 가공식품(26종)도 친환경 식재료로 바꾼다. 올해 6개 자치구 학교(235개교)를 시작으로 2021년까지 전 자치구 관내 학교 940개교로 확대 공급한다. 지역사회 내 공원과 미술관, 청소년수련관 등의 시립시설 현장학습 프로그램과 마을 방과후 프로그램 등도 확대 운영한다.

1기 때 추진했던 사업도 확대한다. 15년 이상 된 초·중·고교의 낡은 화장실을 없애는 '노후 화장실 개선' 사업에 4년간 1692억원을 투입해 668 곳의 화장실을 개선한다.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AVER샤크2020-06-16 13:47:29신고

    추천2비추천0

    이완용 본관은 우봉이씨로 경상도 경주이씨에서 유래되었다. 경주는 대한민국를 수치스런 소국으로 만든 신라 흉노족의 수도이기도 하다.
    즉, 친일파와 같이 강자에게는 한없이 비굴하게 약하고 약자에게는 한없이 비열한 자를 말한다
    친일매국노 학자 삼송가 이병도 이완용 사촌이 말한 이완용부모가 경기도 광주살다 낳기전 전라도가서 이완용을 낳았다고한말은 전라도 비하할려고 친일파들이 만들어낸 고향세탁임
    이완용 생가 https://www.youtube.com/watch?v=0AqzF6orhqE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 226-1
    이완용 재산 여의도 면적 7.7배 현재도 상속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KTnEo_cM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