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68주년 6·25전쟁 기념식에서 기념사하고 있다. (사진=총리실 제공)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북한의) 장사정포의 후방이전이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간 정부가 장사정포 이전과 관련해 북한과의 논의한 적이 없다며 부인해 왔기 때문에 총리의 발언이 주목을 끌었다.
이날 오전 이 총리는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68주년 6.25전쟁 기념식 기념사에 참석해 "작년 말까지 전쟁의 불안이 감돌던 한반도에 이제는 항구적 평화정착이 모색되고 있다"며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해 설명했다.
이 총리는 두 차례의 남북정상회담, 최초의 북미정상회담,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 미군 유해 송환 절차, 한미 연합군사훈련 유예 등을 언급하며 "장사정포의 후방이전이 논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14일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서 우리 측이 북한군의 장사정포를 군사분계선에서 30~40km 철수를 제안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국방부는 연이어 이를 부인했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 또한 1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회담에서 장사장포, 해안포 문제가 거론되지 않았다"고 말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총리가 공식화함에 따라 군 당국 사이에 실질적인 논의가 있던 것 아니냐는 관측이 유력하게 제기됐다.
이런 분위기는 몇시간만에 총리실이 해명자료를 내면서 뒤집혔다.
총리실은 김성재 공보실장 명의의 문자브리핑을 통해 "장사정포 후방이전 문제는 향후 남북군사회담에서 논의될 만한 과제의 하나로, 우리 내부에서 검토한 일이 있으나 남북장성급회담에서는 아직까지 공식논의되지 않았다"고 한발 뺐다.
장성급회담에서 장사정포 철수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다고 부인했던 국방부도 우리가 의제를 검토하면서 나왔었지만 장성급회담에서는 거론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북한은 현재 170㎜ 자주포(최대 사거리 53㎞)와 240㎜ 방사포(최대 64㎞) 등 장사정포 330여문을 최전방 지역에 배치해 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이날 이 총리는 6.25 전쟁에 참전한 호국영령과 유엔군 전몰장병의 안식을 기원하고, 부상자와 유가족들에게 위로를 전했다.
이어 이 총리는 "대한민국의 이런 놀라운 발전은 참전용사 여러분의 헌신이 있었기에 가능했. 대한민국과 국민은 여러분의 숭고한 희생을 결코 잊지 못한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는 "생존해 계신 참전유공자를 한분이라도 더 찾아 모실 것이며, 전사자 유해를 찾아 정중히 안치하는 일도 북한과 협력해 서두르겠다"고 약속했다. 또 "비무장지대의 유해발굴이 시작되면 해외참전용사들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