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2년 연속 무역 1조달러…반도체 수출은 첫 1천억 달러



기업/산업

    2년 연속 무역 1조달러…반도체 수출은 첫 1천억 달러

    美 통상압력·금리인상·미중 무역갈등 등 불안요인도 상존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우리나라가 2년 연속 무역액 1조 달러를 달성할 전망이다. 반도체는 단일 품목 사상 처음으로 수출액이 10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27일 발표한 '2018년 상반기 수출입 평가 및 하반기 전망'에 따르면, 올해 우리 수출은 지난해보다 5.5% 증가한 6050억 달러, 수입은 11% 늘어난 5310억 달러를 기록하며 2년 연속 무역 1조 달러 달성이 예상된다.

    수출 증가율은 상반기의 6.4%에서 하반기에는 4.6%로 소폭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수출단가 상승세 둔화와 지난해에 집중됐던 선박수출 인도 및 반도체 호황 등의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다.

    세계경제 성장세와 IT 경기 호조, 국제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에도 주력 품목의 수출 호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반도체는 하반기에도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 단일 품목으로는 처음으로 연간 수출액이 1000억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중국의 대규모 메모리 투자에 따른 생산 본격화와 수출호황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 수출 증가율은 16.6%로 다소 둔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석유화학·석유제품·컴퓨터·일반기계 등은 호조세를 이어가고 수출이 감소하던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은 증가세로 돌아서는데 이어 휴대폰·디스플레이 등은 감소폭이 축소돼 하반기에는 반도체에 대한 쏠림현상이 다소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반도체의 전체 수출에 대한 기여율은 상반기(1~5월)의 82.1%에서 하반기에는 68.2%로 낮아지게 된다.

    미국발 통상압력, 미중 통상분쟁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확산, 미 금리인상 가속화에 따른 신흥국 경기불안 등 수출 불안요인은 하반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로 미국의 수입규제로 한국이 쿼터를 적용받은 철강제품의 대미 수출은 3월부터 큰 폭으로 줄어들고 있으며, 세이프가드 대상 품목인 세탁기와 태양광은 1~5월 중 각각 50%, 16.6% 감소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문병기 수석연구원은 "하반기 수출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보호무역, 환율 및 금리 변동성 확대 등 단기 리스크에 적극 대응하고 철강·화학·섬유 등 소재·부품 산업 고부가가치화, FTA 네트워크를 활용한 시장 다변화 등을 통해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