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국민의당 출신 주도권 잡자 바른미래 '쩍' 소리

-‘진보’ 부각 행보에 일부 바른정당 출신들 '부글부글'
-‘전대 룰’ 관련 비공개 설명자료 둘러싸고 신경전

바른미래당 김동철 비상대책위원장. 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지방선거 이후 자유한국당이 위기수습 국면에서 계파 갈등으로 시끄러운 가운데, 같은 '참패의 성적표'를 받아든 바른미래당은 상대적으로 고요하다.

그러나 내부를 들여다보면 한국당보다 당내 갈등의 골이 더 깊다는 평이 나온다. ‘김동철 비대위원장 체제’로 전환된 이후 진행되는 개혁 작업을 둘러싸고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 사이에서 감지되는 불만 기류가 심상치 않다. 일각에선 “같이 하기가 진짜 힘들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지방선거 패배 이후 유승민·박주선 공동 지도부가 물러난 자리엔 ‘김동철 비상대책위원회’가 들어섰다. 국민의당 출신인 김동철 비대위원장은 첫 기자간담회에서 선거 패배의 원인에 대해 “중도 개혁, 실용 정당을 표방하는 바른미래당이 한국당과의 차별화에 실패해 보수 야당 프레임을 극복하지 못했다”고 규정했다. 보수 색채 지우기를 방향성으로 잡은 것 아니냐는 분석이 뒤따랐다.

유승민 전 대표 등이 불참한 비대위원·국회의원 워크숍 직후 발표된 당 입장문엔 “바른미래당은 합리적 진보와 개혁적 보수가 공존하는 새로운 정당”이라는 문구가 포함됐다. 창당선언문에 없던 ‘진보’ 표현이 등장한 것이다.

당 차원에선 선을 그었지만, 호남계인 주승용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범진보 세력의 ‘개혁입법연대’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도 내놔 ‘좌클릭 시도’라는 평가가 뒤따랐다.

이런 일련의 상황을 거치면서 개혁 보수를 외쳤던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 사이에선 불만이 응축되고 있다. 당 관계자는 “국민의당화(化)가 (혁신의) 해법이냐”는 볼멘소리를 내놨다.

이런 불만은 ‘8월 전당대회’를 둘러싸고 위험수위로 치닫고 있다. 일부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은 비대위에서 전대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위기수습책을 그대로 밟아선 안 된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전대가 예정대로 추진된다고 해도 지도부를 선출하는 ‘룰’은 핵심 뇌관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지난 달 29일 열린 비대위·중진의원 연석회의에 국민의당 쪽에서 올라온 전대 룰 관련 토의자료가 벌써부터 도마에 오르고 있다.

이 자료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출하는 방안, 선거인단 구성을 ‘전(全)당원’ 또는 ‘전당원 더하기 일반국민’으로 하는 방안 등이 적시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지진 않았지만, 이후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 쪽에선 “사실상 (국민의당 출신 인사들이) 당을 다 장악하겠다는 것”, “여론조사를 아예 없애겠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분출했다.

당원 수나 의원 숫자 모두 국민의당 쪽이 앞서는 상황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한 안을 짜고 있다는 의심이 깔려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민의당 출신 한 핵심관계자는 “중진들이 온 자리니 그런 내용들에 대해 설명을 위해서 만든 자료일 뿐, 룰 세팅을 비대위에서 (미리) 논의하고 어떤 의도를 갖고 공감대를 만들어보려고 한 것이 아니다”라며 “지금 전당대회 후보자도 없는 상황 아닌가. 누구한테 유리하다는 건 말도 안 되는 소설”라고 반박했다.

비대위는 전대 룰 관련 당헌·당규 개정 작업을 주도할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를 꾸리기로 하고, 이에 대한 역할을 정병국(바른정당 출신), 주승용(국민의당 출신)에게 맡아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다. 다만 8월 전대 개최에 회의적인 정 의원은 통화에서 “아직 결정된 건 없다”고 했다.

혁신 작업을 둘러싸고 바른미래당에서도 이처럼 진통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 바른정당 출신 인사는 “일부 지역위원장들도 탈당 의견을 밝히는 상황”이라며 “미래에 대한 불안감도 작용하고 있지만, 혁신작업에 대한 불만도 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

당 통합 이후에도 따로 운영돼 오던 사무처의 당직자 구조조정 문제도 갈등의 씨앗이 될 수 있다. 당무혁신위원회가 적정 당직자 숫자를 이번 주 내로 산정하겠다는 방침인 가운데, 양쪽의 정리 비율이 어느 정도가 될 지는 민감한 문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