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강경화 외교 "가급적 조기 종전선언…중국도 협의 대상"

강경화 외교 "가급적 조기 종전선언…중국도 협의 대상"

"종전선언 시기 아직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없어"
"중국의 참여가 장기적으로 무게 더할 것"
"종전선언은 정치적 선언…평화협정까지는 현 체제 지속"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5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라오스 댐 붕괴와 관련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가급적이면 조기에 종전선언이 될 수 있도록 관련국들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2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강 장관은 "정부로서는 판문점선언에 명시돼 있듯 올해 안에 종전선언을 만들어낸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구체적인 시점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했다. 자유한국당 김재경 의원이 "8월에 종전선언이 준비되고 있는가"라고 질의하자 강 장관은 "상대가 있는 문제기 때문에 정확히 언제 어떤 형식으로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협의가 진행돼야 하고 합의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곤란하다"고 답했다.

또 9월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 종전선언 가능성에 대해서도 "여러 정상이 만나는 계기니 가능성이 있기는 하지만 구체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중국의 종전선언 참여 가능성을 열어뒀다. 강 장관은 "중국이 협의의 대상이 되는 건 이미 판문점선언에서 예견됐던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당시 두 정상은 "올해에 종전을 선언하고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하며 항구적이고 공고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를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

강 장관은 "중국도 한반도 문제 평화에 있어 협력을 이끌어나가야할 중요 상대국"이라며 중국의 건설적인 참여가 장기적으로 더 합의에 무게를 더 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강 장관은 이날 종전선언에 대해 "정부로서는 종전선언은 대화를 견인해나가기 위한 신뢰구축, 선의의 조치라는 정치적 선언의 성격으로 추진하고 있다"거나 "종전선언이 법적인 효력을 갖고 정전체제를 대체한다거나 변화를 갖고 온다는 생각은 안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정전협정으로 65년간 지속된 체제는 평화협정이 체결돼서 대체하기 전까지는 지금의 정전체제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치적 선언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