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보건대와 한려대 전경.(사진=자료사진)
전남 광양 소재 광양보건대와 한려대가 한꺼번에 교육부 대학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아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대한구조개혁위원회에서 심의한 '2018년 대학 기본역량 진단' 가결과 광양보건대와 한려대는 나란히 최하위 등급인 재정지원제한대학 2유형에 포함됐다.
재정지원제한대학 2유형에 속한 대학은 향후 3년 간 정부의 재정 신청과 지원이 전면 제한되며, 신·편입생에 대해 국가장학금과 학자금 대출이 100% 제한된다.
또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대학 운영 등을 쇄신할 수 있도록 30% 정원 감축 권고를 받게 된다.
광양보건대와 한려대의 이번 최하위 등급 평가는 교육부의 부정대학에 대한 제제가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두 대학 설립자인 이홍하 씨는 자신이 설립한 대학들에서 1000억여 원을 횡령한 사실이 드러나 징역형이 확정돼 현재 수감 중에 있다.
교육부는 대학 행정에 대한 책무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부정·비리 대학에 대한 엄정한 조치를 위해 대학별 부정·비리 사안에 대한 제재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번 평가 발표에 대한 이의신청을 받은 뒤 이달 말쯤 최종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하지만 당장 다음달부터 신입생 수시 모집이 시작되는 만큼 이번 평가 결과는 두 대학에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이번 평가 결과가 발표되자 두 대학은 물론 광양 지역사회가 충격에 휩싸였다.
특히 광양보건대의 경우 3년 연속 최하위 등급을 받은 탓에 이미 폐교가 확정된 서남대의 전철을 밟을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간호학과 2학년 A씨는 "학교 설립자가 비리를 저지른 건데 학생들이 죄를 지은 기분"이라며 "학교가 폐교된다는 말이 있는데, 앞으로 미래가 어떻게 될지 불안하다"고 말했다.
지역 사회에서 광양 보건대 회생에 대한 요구가 높았던 만큼 지난 지방선거에서 광양 보건대 정상화를 약속한 김영록 전남지사와 정현복 광양시장도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이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