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한국 '고령사회' 첫 진입…생산인구도 사상 첫 감소

경제 일반

    한국 '고령사회' 첫 진입…생산인구도 사상 첫 감소

    65세 이상 14% 넘겨 17년 만에 고령화사회→고령사회로 전환
    15~64세 생산연령인구도 사상 처음 감소…유소년 인구도 급감

     

    한국 고령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14%를 넘어서면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생산연령인구도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전수 집계 결과를 보면 국내 거주하는 총 인구는 외국인을 포함해 5142만 3천 명으로 2016년 5127만 명에 비해 15만 3천 명(0.3%) 증가했다.

    하지만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620만명(72.5%)으로 일년새 3631만명에서 11만명가량 감소했다.

    특히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 감소세는 더욱 심각해, 일년새 677만명에서 14만명 줄어든 663만명(13.3%)에 그쳤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712만명으로 34만명이나 늘었고,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전년 13.6%에서 14.2%로 0.6%p 증가했다.

    유소년인구를 100명이라고 할 때 고령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노령화지수'도 2016년 100.1로 처음 100을 넘어 역전한 데 이어 지난해는 107.3으로 크게 늘었다.

    100세 이상인 경우도 3908명으로 전년 3486명에 비해 12.1%(422명) 증가했다.

     

    시도별 고령인구 비율은 전남(22.0%)이 가장 높고, 경북(19.0%), 전북(19.0%), 강원(18.0%) 순이며, 전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고령인구 비율이 감소했던 세종(9.3%)이 가장 낮았다.

    성별로 보면 남자 2576만 8천 명, 여자 2565만 4천 명으로 2016년에 비해 남자는 0.3%, 여자는 0.3% 각각 증가했다.

    또 내국인은 4994만 3천 명, 외국인은 147만 9천 명으로 2016년에 비해 내국인은 0.2%, 외국인은 4.6% 증가했다.

     

    국내 총 가구 수는 전년대비 1.7%(33만 가구) 늘어난 2016만 8천 가구로 사상 처음으로 2천만 가구를 넘어섰다.

    주된 가구 유형은 1인 가구(28.6%)로 전년보다 0.7%p 증가했고, 2인 가구(26.7%), 3인 가구(21.2%), 4인 가구(17.7%), 5인 이상 가구(5.8%) 순이었다.

    가구주 중위연령은 51.7세로 전년보다 0.4세 높아졌고 평균 가구원수는 2.47명으로 0.04명 감소해 저출산 고령화 추세가 여실히 드러났다.

    특히 65세 고령자가 있는 가구가 520만 9천 가구로 26.5%를 차지해 전년보다 3.7% 증가했고, 고령자만 있는 가구는 12.2%에 달했다.

     

    국내 전체 주택은 1712만호로 전년 1669만 2천 호에 비해 43만호(2.6%)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에 전체 주택의 45.5%에 해당하는 778만 6천 호가 몰려있었다.

    주택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도로 13만 5천 호로 가장 많았고, 경남(4만 3천 호), 서울(3만 6천 호) 순이었다.

    아파트의 주거용 평균 연면적은 75.0㎡으로 아파트의 주거용 연면적은 건축연도 2000~2009년에 82.2㎡으로 정점을 찍은 후, 점점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다.

    전국 빈집은 126만 5천호로 전년 112만호에 비해 14만 5천호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빈집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세종시로 42.0% 증가하였으며, 제주 33.4%, 울산 28.2% 순이었고, 서울만 1.4% 감소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