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서울시·은평구·고양시' 기피시설 놓고 갈등 확대



경인

    '서울시·은평구·고양시' 기피시설 놓고 갈등 확대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통합이전 협의' 난항…사업 주체 서로 미뤄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 위치도와 조감도.<사진=자료 사진="">

     

    서울 은평구 광역자원순환센터 건립 문제가 주민 갈등에 이어 관계 기관간의 갈등 양상으로 확대되는 모양세다.

    대체부지를 마련해 주민 갈등을 해소하고자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기존 입장만 되풀이하며 사업 주체를 서로 미루는 등 의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16일 서울 은평구, 경기 고양시 등에 따르면 주민 반발을 불러온 '은평 광역자원순환센터'를 '서울 난지물재생센터'로 통합 이전하는 방안이 지난 6월부터 협의 중이다.

    다른 지역에 비해 주민 피해가 최소화 되고, 공공 재활용 선별시설이 없는 고양시와 은평자원순환센터를 통합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지 역 국회의원의 제안에 따른 것이다.

    이후 10여 차례 관계기관 간 협의가 진행됐고, 이 과정에서 서로 입장만 재차 확인했을 뿐 뚜렷한 해법은 찾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시설을 추진하는 주체는 서울 은평구지만 시설이 들어서는 부지는 경기 고양시인 만큼 사업을 총괄하는 주체를 양측이 미루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서울 난지물재생센터의 소유권과 관리권한을 갖고 있는 서울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자원순환센터 통합이전 논의는 갈등만 확대됐다.

    서울시 측은 "주민 기피시설로 분류된 난지물재생센터에 민원 해결을 위해 새로운 기피시설을 통합 이전하는 것은 새로운 주민갈등을 유발하는 것"이라며 "대체부지 이전은 사업지연과 인근 주민 반발 등이 예상되는 만큼 기존 부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은평구 측도 "통합이전은 행정구역이 고양시인 만큼 고양시가 사업 주체가 되서 행정절차, 부지매입, 건설 등을 추진해야 한다"면서 "사업이 늦어져 발생하는 은평구 등의 폐기물 처리비용은 고양시가 모두 부담한다는 확약서를 제출해 줄 것"을 요구했다.

    반면, 서울 기피시설 문제 해결을 위해 대응했던 고양시는 은평구의 요구는 현실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은평구와 마찬가지로 재활용쓰레기를 민간 업체에 위탁해 처리하는 고양시도 자원순환센터 통합 이전을 원하고 있지만 사업 주체는 될 수도 없고, 서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왜 고양시가 떠맡느냐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은평자원순환센터 통합 이전은 난지물재생센터 소유권을 가진 서울시가 추진해야 하고, 고양시는 행정절차가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협조할 것"이라면서 "은평구의 요구사항은 우리시가 감당하기 힘든 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만큼 받아들 수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양시는 서울시와 은평구 등 관계기관에서 대체부지와 관련해 좋은 대안을 제시하면 적극 검토해 협조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인터넷 지도를 이용한 시 경계 측정. <사진=자료 사진="">

     

    한편, 서울시 은평구가 건립을 추진하고 있는 '광역자원순환센터'는 은평구와 마포구, 서대문구 등 3개 구의 재활용쓰레기를 선별하는 광역 폐기물처리시설이다.

    은평구 진관동 일대 11,535㎡ 부지에 지상 1층, 지하 1층 규모로, 하루 재활용품 150톤 선별, 생활폐기물과 대형폐기물을 각각 130톤, 25톤을 적환할 수 있도록 계획됐다.

    그러나 시설부지가 대규모 인구가 밀집한 서울 은평뉴타운, 고양 삼송·지축지구와 인접해 있어 주민들은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비산먼지로 인한 주민 피해와 인근 하천이 오염될 것을 우려하며 사업 철회를 주장하며 반발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