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수액 투여 후 패혈증 쇼크로 사망자가 발생한 인천 남동구 소재 N의원에서 사용된 미사용 주사제에 대한 조사를 시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해 논란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맹성규 의원은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진행된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국정감사에서 "인천 남동구 패혈증 사건의 경우 보관체 검사를 위해서는 (사건이 발생한) 의료기관(N의원)에서 보관 중인 주사제를 검사해야 한다"며 "그런데 식약처는 동일한 시중의 제품을 검사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정맥주사제 감염 사건이 발생하면 질본은 사용된 주사제와 주사세트를, 식약처는 사용제품과 동일한 미사용 주사제와 주사세트를, 보건환경연구원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사망자의 부검을 각각 담당하게 돼 있다.
맹 의원은 식약처가 사건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해당 의료기관에서 보관해 사용하고 있는 약제품이 아닌 전혀 관계없는 제품을 가져다 검사한 것을 질타한 것이다.
맹 의원은 "담당하는 기관이 나눠져 있다보니 시간도 많이 걸리고 기관 간의 책임성 문제도 있다"며 특히 식약처의 경우 "남동구의 해당 의원에서 (주사제를) 가져가 달라고 5번이나 공문을 보냈는데 그냥 검사를 했다"고 제대로 되지 않은 검사 과정을 거듭 지적했다.
이에 박능후 복건복지부 장관은 "그런 요청이 있었음에도 왜 그렇게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식약처의 검사 방식이 잘못됐음을 시인했다.
맹 의원은 최근 발생한 다제내성균(여러 항생제가 동시에 듣지 않는 균) 감염 사건에 대한 대응 미비와 관련 통계가 존재하지 않는 점, '마늘주사' 등으로 불리는 영양제 주사의 관리소홀 등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항생제 내성균은 6종인데 이대 목동병원 신생아 감염사건, 인천 남동구 패혈증 사망사건, 51명이 감염된 서울 서초구 피부과 감염사건 등은 이 6종에 포함되지 않는다"며 "이들 6종만 역학조사로 관리하고 다른 세균 감염에 대해서는 전혀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 접수되는 조정·중재 건수는 매년 늘어나고 있지만 앞선 사건과 같은 의료기관 내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는 통계가 아예 없다"며 "영양제 주사와 관련해서도 의사협회가 제작한 권고지침이 전부로 마늘주사에 대해서는 지침조차 없다. 가이드라인을 보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꼭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관련 협회와 상의해 권고기준이 아닌 지침 수준까지 마련하겠다"고 답했다.
정은경 질본 본부장은 의료기관 처치과정 중 발생한 감염사례 통계와 역학조사관의 증원 필요성에 대해 모두 "필요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