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한국인 행복지수 6.3점…30대 최고, 60대 최저

사회 일반

    한국인 행복지수 6.3점…30대 최고, 60대 최저

    월소득 1백만원 미만,행복지수 4.98
    보사연"경제적 빈곤이 행복빈곤 유발 가능성 높아"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한국인의 행복지수는 30대가 가장 높고 60대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행복 수준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인의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6.329점이었다.

    이는 주관적 행복도(6.505)보다 약간 낮고 삶의 만족도(6.352)와 거의 유사하며 미래 안정성(5.74)보다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6.56으로 나타난 반면 미래 안정성 부문을 제외한 모든 행복 관련 수치에서 60대 이상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20대는 6.36점으로 대체로 30대 다음으로 높은 행복도 점수를 보였지만 미래 안정성 부문에서는 5.44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연구진은 "최근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과 주거 빈곤 등 불안정한 현실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했다.

    (표=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제공)

     

    가구 규모별로는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행복도 수준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인 가구의 행복도는 2인 이상 가구의 행복도와 상당한 격차를 보였다.

    1인 가구 행복지수는 5.84점으로 2인 가구 6.27점, 3인 가구 6.36점, 4인 가구 6.45점보다 크게 낮았다. 7인 이상 가구의 경우 행복지수는 7점(7.04점)을 넘어섰다.

    연구진은 "사회적 자본이나 관계적 측면이 행복의 수준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걸 알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종 학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행복지수 점수 또한 높았다. 대졸 이상인 사람의 평균 행복지수 점수는 6.57점으로 중졸 이하의 5.63점보다 높았다. 종교가 있는 사람은 무교인 사람에 비해 행복도가 높았다.

    월소득규모도 행복도 점수와 비례했다.100만원미만의 저소득자는 4.98점인데 비해 1천만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7.12점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행복빈곤` 개념도 시험적으로 적용됐다.

    연구진은 "행복빈곤의 조작적 정의는 소득에서 주로 활용되는 상대적 빈곤개념과 유사하다"며 "중위 행복도(6.46점)의 50%, 60%, 75% 미만인 행복도를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전체 인구 중 이러한 인구의 비율을 행복빈곤율로 정의한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전체 인구 중 14.6%를 차지하는 저소득층이 행복빈곤인구의 42.4~67.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경제적 빈곤이 행복의 빈곤과 직결된다고 볼 수는 없지만 행복빈곤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위험인자라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20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1일부터 20일까지 전화조사로 실시했으며, 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는 ±3.10%포인트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