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금융/증시

    금융지주 재전환 우리은행, 남은 과제는

    비은행 사업 확장, 내부등급법 승인, 잔여 정부지분 매각

     

    우리은행이 당국의 인가가 나온지 하루만인 8일 이사회를 열고 지배구조 논란을 속전속결로 매듭지었다. 내년 지주체제 전환이 완료되면 '빅5 금융지주'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되지만, 앞길에 놓인 과제도 적지 않다.

    우리은행 이사회는 이날 오전 손태승 우리은행장을 2020년 3월까지 우리금융지주 회장에 겸임한다는 결정을 내놨다. 손 행장은 다음달 28일로 예정된 임시 주주총회에서 회장으로 공식 선임된다.

    이어 내년 1월쯤 우리금융지주회사가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KB·신한·NH·하나 금융지주사와 같은 반열이 된다. 올해 신년사에서 "2018년 황금처럼 빛나는 새 역사를 창조해 나아갈 것"이라고 선언한 손 행장에게는 본인이나 회사에 있어 새 역사를 창조할 토대가 마련된 셈이다.

    다만 과제가 없지 않다. 이사회가 손 행장이 회장을 겸직해야 한다고 판단해야 했던 배경에서 우리금융지주 앞길의 숙제가 확인된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사외이사들은 △우리은행 비중이 99%로 절대적인 점 △그룹 내부등급법 승인 현안 등을 감안해 회장·행장 겸직체제에 손을 들었다. 즉 비은행 사업 다각화, 유리한 자기자본비율 기준 획득 등이 과제가 된다.

    사외이사들 판단대로 현재의 우리은행 그룹은 은행이 사실상 전부다. 올해 3분기말 현재 그룹 총자산은 376조원, 우리은행 총자산은 365조원이다. 우리카드(9.6조원), 우리종금(2.7조원), 우리FIS(0.1조원) 등의 총자산은 미미한 수준이다.

    경쟁사들은 사업다각화가 활발하다. 하나금융 총자산에서 하나은행 총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81%다. 신한금융의 신한은행(70%), KB금융의 국민은행(48%)도 상대적으로 은행 비중이 작다. 우리금융으로서는 비은행 금융사 인수합병 등으로 그룹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는 셈이다.

    은행이 향후 지주회사의 자회사가 되는 만큼, 현재 은행의 자회사 상태인 카드와 종금 등 계열사에 은행과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등 조직구조 재편 절차도 필요하다.

    이런 가운데 당국으로부터 '내부등급법' 적용을 승인받아야 하는 문제도 큰 현안이다. 금감원 방침은 우리금융의 자본비율 계산시 내부등급법이 아닌 '표준등급법'을 반영한다는 것이어서, 우리금융의 자본비율이 급락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인사합병 추진 등 적극적 사업이 쉽지 않다.

    내부등급법과 표준등급법은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위험가중 자산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내부등급법은 은행의 자체 특성을 반영한 방식이어서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우리은행은 내부등급법 적용을 허용해달라고 당국을 설득해야 하는 상황이다.

    KB국민은행이나 하나은행의 경우 '지주사 전환시 은행이 내부등급법을 쓰고 있으면 그대로 적용한다'는 특례를 인정받기도 했지만, 이 법조항은 2016년 폐지됐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정부(예금보험공사)가 아직 보유하고 있는 우리은행 지분 18.34%도 정리해 명실상부한 민영화도 이뤄야 한다.

    우리금융 민영화는 "관치 논란을 벗어나고, 경쟁력을 확보할 궁극적 수단"(금융권 인사)이자 "경쟁력을 확인시켜 확실한 성장을 이뤄야만 달성할 수 있는 목표"(다른 관계자)로 평가된다.

    앞서 우리은행은 2010~2012년 해마다 정부지분 55.97%를 매각하는 민영화가 추진됐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그러다 2016년 정부는 '쪼개팔기'로 전환해 29.7% 지분을 7개사에 매각했다. 과점주주 7개사의 현재 지분은 27.22%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