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유엔 안보리,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 논의…미국측 제동 "시간 걸려"

유엔 안보리,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 논의…미국측 제동 "시간 걸려"

 

대북 인도적 지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렸으나 미국측이 제동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는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수개월째 지연되고있는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승인 문제를 논의했다.

회의 소집을 요청한 러시아는 "안보리가 가진 모든 수단을 이용해 지연 상황이 바로잡힐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빨리 모든 대안을 검토해달라"고 압박했다.

러시아는 또 은행 분야의 대북제재 해제를 거론했으나 미국은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관련해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는 "과거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노력은 결코 주민들에게 돌아가지 않고 권력자나 정권에 돌아갔다"면서 "우리는 그들이 왜 그렇게 하려는지 잘 알고 있으며, 그런 일이 일어나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제동을 걸었다.

회의에 앞서 헤일리 대사는 기자들에게 "구호품이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는 게 아니라는 걸 확실히 하려고 기술적 요소들을 살펴보고 있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우리가 지금 심사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대북제재위원회는 안보리 15개 이사국으로 구성돼 있으며, 특정 사안의 결정 시 전체 회원국의 '전원 동의'로 운영된다.

대북 인도주의 지원이 이뤄지려면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의 사전 승인을 통해 예외를 인정받아야 한다.

앞서 지난 8월 아일랜드는 자국의 구호단체인 '컨선 월드와이드'가 북한에서 4건의 구호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허용해달라고 대북제재위에 제재면제를 요청했으나 미국은 '더 시간이 필요하다'며 승인하지 않고 있다.

이탈리아 기업인 '아그로텍 스파'도 북한에 트랙터, 트랙터 트레일러와 부품을 수출할 수 있게 해달라고 승인을 요청했으나 승인이 나지 않았다.

국제적십자·적신월사연맹(IFRC)도 지난 6월 식수 위생사업을 위한 제재면제를 요청했으나 현재까지도 계류 상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