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현동 가야사 유적인 덧널무덤(사진=경남도청 제공)
가야사에 대한 대규모 학술 행사가 개최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정과제로 내세웠던 가야사 문화권 조사 정비 사업에 부정적 시각을 가졌던 한국고대사학회도 참여해 결과가 주목된다.
문화재청 소속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한국고고학회, 한국고대사학회, 한국상고사학회와 함께 21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제1회 가야사 기획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문헌과 고고자료로 본 가야'를 주제로 삼은 이번 심포지엄은 가야사 문화권 조사·정비 추진과 관련해 연구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쟁점을 점검하고 연구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이다.
쟁점은 변한 사회와 가야, 가야의 성장과 획기(劃期·새로운 기원을 여는 시기), 가야의 국가적 성격, 가야와 주변 국가 등 네 가지다.
첫 번째 쟁점은 변한을 가야사에 포함해야 하는지, 아니면 변한과 가야를 분리해 살펴야 하는지다.
이어 가야가 본격적으로 역사 무대에 등장하는 시기를 언제로 간주해야 하는가에 대한 발표도 진행된다. 3세기 초반 포상팔국이 아라가야를 침입했다가 패한 지점을 가야 태동으로 삼아햐 한다는 주장 등이 나오고 있다.
가야가 부체제, 초기 고대국가, 고대국가 중 어느 단계까지 나아갔는가에 대한 토론도 이뤄진다. 백승옥 국립해양박물관 학예연구실장과 김규운 강원대 교수는 각각 문헌과 고고 자료로 본 가야와 백제·신라 관계를 발표한다.
특히 그간 이번 문재인 정부의 가야사 재조명에 부정적이었던 고대사학회가 참여한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앞서 하일식 고대사학회장은 지난해 6월 학회 누리집에서 개인 의견을 전제로 "대통령이 역사의 특정 시기나 분야 연구를 지시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며 "가야하 연구가 영호남의 벽을 허무는 좋은 사업이라는 이야기도 역사를 도구화한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역사 연구에 정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을 경계한 것이다.
고대사학회가 1년 6개월 만에 국립 연구기관과 손잡고 가야사 쟁점을 논의하는 학술대회를 열기로 한 것은 가야사 연구에 대한 점검과 토론 필요성을 공감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가야사의 다양한 쟁점에 대한 점검은 물론 특정 시기의 역사를 부각하는 정부 정책과 관련해서 일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올지도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