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연간소득으로 원리금 못갚는 취약차주 계속 증가

금융/증시

    연간소득으로 원리금 못갚는 취약차주 계속 증가

    DSR>100% 차주 중 취약차주 비중, 2015년 16.5%→18.4%

    자료=한국은행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100%를 넘는 차주 중 취약차주의 비중이 2015년부터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SR은 차주의 연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율로 DSR이 100%를 넘는다는 것은 연간소득으로 금융부채의 원리금을 충당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금리 상승기에 소득으로 부채 원리금조차 갚지 못하는 취약차주가 증가하면서 경고음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DSR이 100%를 초과하는 차주 중 취약차주의 비중은 2015년말 16.5%에서 2016년말 17.0%, 2017년말 17.9%에 이어 지난 2분기말 18.4%로 계속 증가추세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하위 30% 저소득 또는 7~10등급의 저신용 차주를 의미한다.

    DSR 100% 초과 차주중 저소득자, 60대 이상, 다중채무자의 비중도 전체 차주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 차주 중 저소득자의 비중은 19.6%인데 반해 DSR 100% 초과 차주 중 저소득자의 비중은 32.3%에 달했다. 또 60대 이상은 전체 차주 중 16.5%였지만 DSR 100%초과 차주 중 차지하는 비중은 20.1%로 늘어났다.

    다중 채무자의 경우에는 전체 차주 중 21.9%, DSR 100% 초과 차주에서는 44.7%로 상승했다.

    취약차주의 DSR수준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전체 차주의 DSR은 지난 2분기말 38.8%였으나 취약차주의 DSR은 67.6%에 달했다.

    이들은 특히 변동금리 대출비중이 높은 신용대출과 비은행대출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대출금리 상승기에 채무상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된다.

    신용대출 규모는 비취약차주가 23.5%인데 반해 취약차주는 43%에 달하고, 비은행대출은 비취약차주가 41.5%인데 반해 취약차주는 65.5%나 된다.

    한은은 신용과 소득, 자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DSR이 높은 차주의 채무상환 리스크는 크지 않은 상태지만 향후 소득여건 악화, 대출금리 상승, 부동산시장 위축 시 채무상환 어려움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또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리스크 완화를 위해선 금융기관이 대출취급시 소득측면에서의 상환능력을 엄격히 평가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