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제공)
카카오모빌리티(이하 카카오)가 15일 카풀 시범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택시 업계와의 협력과 사회적 합의를 우선으로 하여 원만한 소통의 장을 만들기 위한 결정"이라며 시범서비스 중단을 전격 발표했다.
카카오는 이어 "대화에는 어떤 전제도 없으며, 서비스 출시를 백지화할 수도 있다는 열린 자세로 대화에 임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택시 종사자들의 후생 증진과 이용자들의 승차난 해소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에 이어 지난 10일 또 다시 '카카오카풀 반대'를 주장하며 택시기사가 분신 사망했을 때도 카카오는 "시범서비스 중단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닷새 만에 입장변화 이유를 묻는 질문에 카카오는 "입장문 내용 그대로"라며 말을 아꼈다.
택시기사 2명 분신 사망에도 꿈쩍도 하지 않던 카카오를 움직인 배경에는 이른바 '국토부 카풀 문건 논란'이 꼽힌다.
최근 한 매체는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말 '택시-카풀 갈등' 해결 방안을 만들면서 추진계획을 세웠는데, 추진계획에 '향후 택시 단체와의 대화의 문을 열어두되 (택시 단체의) 입장 변화가 없을 시 현 상황을 유지하면서 언론 등에 택시 단체 문제점을 지속 제기라고 명시하는 등 택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활용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고 보도했다.
이후 택시업계는 ▲김현미 국토부 장관 사퇴 ▲책임자 처벌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서 진상 규명 ▲문재인 대통령 면담 수용까지 요구하며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다.
2번째 택시기사 분신사망 사건 때까지만 해도 카풀 갈등은 택시업계와 카카오 간 갈등 양상으로 진행됐고, 상대적으로 여론을 더 얻고 있는 카카오 입장에서는 무리해서 물러설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 이뤄졌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토부 문건 논란으로 갈등 양상이 정부‧카카오 대 택시 간 대결 구도로 바뀌면서 카카오의 부담이 가중됐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양측의 갈등을 중재해온 더불어민주당 택시-카풀TF 위원회는 카카오의 결정에 따라 택시업계와 카카오 등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타협기구 운영방향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이후 위원장인 전현희 의원이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계획을 공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