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자료사진)
남한 농업인 절반 이상은 남북 경제교류협력이 활성화될 경우 우리 농업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 절반 가까이는 정부의 농업‧농촌 정책에 대해 불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7일 공개한 농정포커스의 '2018년 국민들은 농업‧농촌을 어떻게 생각하였나?' 보고서에서 이 같이 드러났다.
농경연은 지난해 11월 24일부터 12월 14일까지 농업인 1259명과 도시민 1500명 등 총 2759명을 대상으로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실시했다.
이 조사에서 남북 경제교류협력이 활성화될 경우 우리 농업의 변화 전망에 대해 농업인51.3%가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도시민은 36.0%가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반면에 농업인 24.4%는 '나빠질 것'이라고 응답해 도시민(15.2%)보다 부정적인 응답이 높았다.
농업인은 일방적인 지원 방식 및 저가의 북한산 농산물 도입 등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농업인의 경우 연령이 낮은 층과 연평균 농업소득이 높은 층에서 남북 경제교류협력에 대한 기대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인 45%는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농업‧농촌 정책에 대해 '불만족한다'고 응답해 도시민(17%)보다 부정적인 인식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농정성과 중 '쌀값 회복'에 대한 공감도는 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농업‧농촌의 기능 중 중요한 역할에 대해서는 농업인(73.1%)과 도시민(81.5%) 모두 '안정적 식량 공급'을 가장 중요한 기능이라고 응답했다.
또 앞으로 농업‧농촌의 기능 중 중요해질 역할에 대해서는 농업인(55.4%)은 '안정적 식량 공급'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꼽은 반면 도시민(53.1%)은 '식품 안전성 향상'을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꼽았다.
농업인의 32%는 농업종사에 '불만족' 한다고 응답했으며 '불만족'의 가장 큰 이유로 '노력에 비해 보수가 낮다'(54%)를 들었다.
농업인의 50%는 최근 농업경영에 가장 큰 위협요소로 '일손 부족'을 꼽았으며 다음으로 '농업 생산비 증가', '기상 이변과 재배여건 변화'를 꼽았다.
도시민 31%는 은퇴 후 귀농‧귀촌 의향이 있으나 귀농‧귀촌 의향자 중 50%는 귀농‧귀촌의 구체적 시기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응답했다.
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농산물 가격 및 농업인 소득 안정, 귀농‧귀촌 확대와 청년 농업인 육성을 통한 인력 확보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