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서울 강남구 강변교회에서 열린 새생활운동 특별 대담.(사진=오요셉 기자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묵상하는 사순절 기간, 우리에게 깊은 울림을 주는 신앙 선배들의 실천운동을 되새겨본다.
4.19 혁명 이후, 사회에 만연한 부정부패를 극복하고 일상의 변혁을 통해 윤리적 삶의 회복을 외친 기독청년들의 '새생활운동'이다.
지난 6일 손봉호, 김명혁, 김상복, 이형기 등 지금은 한국교회의 원로가 된 새생활운동의 주역들이 한자리에 모여 60년 전 새생할운동을 돌아보면서 오늘날 한국교회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1960년, 4.19혁명은 성공했지만 당시 사회엔 도덕적 부패와 정치적 혼란이 여전했다.
시민들은 밀수품이던 양담배와 커피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 소비했고, 카바레와 댄스홀, 요정에선 향락적이고 퇴폐적인 문화가 만연했다. 또, 관용차량에 가짜 번호판을 달고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이런 현실을 고민하던 손봉호, 김명혁, 김상복, 이형기 등 당시 서울대 문리대학의 몇몇 기독학생들은 국민들의 의식과 생활 밑바닥에서부터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새생활운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김상복 할렐루야교회 원로목사는 "국민이 바닥에서부터 의식의 변화와 생활의 변화를 일으켜, 생활혁명이 일어나지 않고는 학생들의 희생은 헛것일 뿐이요, 사실상 4.19 혁명은 이제부터 국민의 혁명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운동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기독청년들은 다방과 거리로 나가 시민들에게 양담배와 밀수 커피 대신 국산품을 애용하자고 설득했고, 댄스 홀과 카바레, 요정을 찾아가 사회의 도덕적 해이를 비판했다. 또, 관용차량의 사적 이용에 항의하며, 가짜 번호판를 달고 다니는 국회의원들의 차를 막아서기도 했다.
10명 내외의 기독청년들이 시작한 새생활운동은 곧 국민들의 지지와 공감 속에 전국적으로 확산됐고, 양담배 사용 감소와 관용차량에 대한 제재 강화 등 실질적인 변화도 이끌어냈다.
일상을 개선하자는 기독청년들의 순수한 외침은 사회현실에 대한 신앙적 자각에서 비롯됐지만, 사회의 보편적 가치와 맞닿아 전사회적 공명을 일으킨 것이다.
김명혁 강변교회 원로목사는 "새생활운동은 우리 사회와 나라가 바로 되기 위해서는 사상의 혁명과 생활의 혁명이 일어나야 한다는 정신적, 신앙적 자각에서 비롯한 운동"이었다"며 "순수하게 신앙적으로 몇 사람들이 마음을 합하면 수만 명의 전국 대학생들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까지 큰 영향을 미치는 운동을 일으킬 수 있다는 확신을 지니게 되었다"고 회상했다.
1960년 새생활운동을 일으킨 주역들.(사진=오요셉 기자)
새생활운동의 주역들은 오늘날 기독청년들이 새생활운동의 정신을 이어가주길 바랐다.
이들은 기독청년들은 개인윤리의 차원을 넘어서 사회의 구조와 원리를 변혁하고, 우리가 사는 세상이 하나님 나라를 닮아가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이형기 장신대 명예교수는 "오늘날 교회는 새생활운동과 같은 경험을 살려서 불신자들의 보편적 가치들에 상응하는 가치들을 찾아내 제시하고, 학생운동뿐만 아니라 기독교 시민사회운동으로 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손봉호 고신대 석좌교수는 "한국교회가 성경적 관점에서 분명히 잘못된 사회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는 능력과 기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 성장에만 몰두한 나머지 중요한 책임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더욱 개인주의화되고 공동선에 대한 개념이 희박해진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행동과 실천을 통해 본본보기가 되는 삶을 살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 교수는 "모방을 할 수 있도록 모범을 보이는 그리스도인이 한 명이라도 더 늘어나야 우리 사회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은 또, "새생활운동은 우리들 자신의 한 평생 삶과 사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며 " 젊은 청년들이 올바른 일과 공익을 위해 시간과 열정을 쏟는다면, 사회뿐만 아니라 본인들에게도 큰 유익이 될 것"이라고 권면했다.
그리곤, 오늘날 한국사회의 문제로 부정직과 생명, 환경, 땅 등 생태문제 등을 제시하며 성경적 가치와 윤리를 회복해 나갈 것을 당부했다.
당시 사회 현실에 대한 신앙적 자각과 순수한 열정으로 일어난 새생활 운동의 정신은 60년 가까이 지난 오늘날에도 그리스도인들이 지향해야할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