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플랫폼 택시인 '웨이고 블루'와 '웨이고 레이디'가 20일 시장에 선보였다.
국토교통부는 이들 플랫폼 택시를 운영하는 타고솔루션즈에 광역 가맹사업면허를 전달했다고 이날 밝혔다.
플랫폼 택시는 기존 택시에 최신 플랫폼 기술을 결합한 형태로, 앱미터기 등 IT기술에 기반한 택시호출·결제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우버 지향형 신개념 택시다. 다만 합승은 허용되지 않는다.
운영업체인 타고솔루션즈는 서울과 성남 지역의 택시회사 50곳(4516대)이 자발적으로 뜻을 모아 만든 택시운송가맹사업체다.
이번에 선보인 웨이고 블루와 웨이고 레이디는 플랫폼 회사인 카카오 모빌리티와 협력해 기본적인 플랫폼 운영체제를 장착하게 된다.
지난달 1일 서울시로부터 가맹사업 면허를 받았고, 이날 서울과 성남을 오갈 수 있는 광역 가맹사업 면허까지 받아 본격 운영에 착수하게 됐다. 100여대로 운행을 시작, 올 상반기중 3천여대로 확대될 예정이다.
웨이고 블루의 경우 기존 택시 호출과 달리 앱을 통해 호출하면 승차 거부 없이 즉시 배차되는 택시다. 목적지를 명시하지 않고 호출하면 바로 배차되는 방식이다.
친절 교육을 이수한 우수 드라이버가 불친절·난폭·과속·말걸기 없는 '4무(無)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기청정기와 스마트폰 무료충전, 고객이 원하는 음악 재생 등 각종 편의 서비스도 제공한다.
웨이고 레이디는 여성 기사가 운행하는 여성전용 사전예약 택시로, 초등학생까진 남자 아이도 탑승할 수 있다.
특히 이들 플랫폼 택시엔 완전 월급제가 도입됐다. 일한 시간만큼 최저임금 이상 기본급이 주어지고 운행실적에 따른 성과급도 지급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택시기사들의 불친절과 골라태우기원인으로 지적된 사납금 관행을 없있기 때문에, 안정된 근로 여건에서 친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 하반기부터는 애완동물을 운송하는 '펫택시', 오전 또는 심야 시간대에 기업업무나 교통약자를 지원하는 '수요응답형 택시', 심부름 서비스 등도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당국은 지난 7일 '택시-카풀 사회적 대타협'에서 합의한 규제혁신형 플랫폼 택시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선보일 수 있도록 규제혁파에도 즉시 착수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