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채 규모와 증가세가 OECD 평균에 미달하는 등 우리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전반적으로 양호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라 일부 취약기업의 상환능력 저하 가능성이 지적됐다.
한국은행은 28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어 거쳐 최근의 금융안정상황을 점검하고 이같이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외감기업 2만2798개사를 대상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채구조 등을 진단했다.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금융위기 이후 취약업종기업 구조조정 등에 힘입어 100%안팎으로 관리되고 있다. 2008년말 이후 증가율은 기업부채가 연평균 4.6%으로, 가계부채(연평균 7.9%)보다 낮다.
지난해 3분기 현재 기업부채 비율(101.2%)과 2008년말 대비 상승폭(1.6%포인트)도 같은 기간 OECD 평균(각각 105.9%, 5.6%포인트)을 밑돈다.
2008~2017년 기간 기업의 채무 상환능력도 개선됐다. 수익성 측면에서 2015년 이후 크게 개선됐고, 재무구조 측면에서도 금융위기 이후 완만히 나아지는 모습으로 평가됐다. 지난해(3분기 상장기업 1959개사기준)에도 이같은 추세가 이어졌다.
다만 규모별로 중소기업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이자비용) 상승폭이 2008년 143%에서 2017년 292%로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작고,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도 같은 기간 114%에서 115%로 거의 유지되는 등 개선 정도가 제한적이었다. 대기업은 이자보상비율 475%→874%, 유동비율 113%→129%였다.
업종별로는 조선·음식숙박·운수·부동산 업종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 지속됐다. 이자보상비율의 경우 조선업은 2008년 2128%에서 2017년 55%로 부진했다. 음식숙박(71%→98%), 운수(185%→199%) 업종은 2008년보다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으로 평가됐다.
유동비율 및 부채비율도 조선·음식숙박·운수 업종의 경우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부동산업은 유동비율은 양호하나 부채비율이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금리 상승' 및 '영업이익 감소'의 복합충격 발생시 중소기업과 조선·음식숙박·운수·부동산 등 일부 취약업종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이 크게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과거사례를 참고해 금리 1.50%포인트 상승 및 영업이익 30% 감소를 가정하고 시뮬레이션한 결과, 전체 기업 대비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 상승폭은 중소기업(14.2%포인트)이 대기업(7.5%포인트)의 갑절이었다.
조선업(56.8%→73.2%), 음식숙박업(58.3%→75.4%), 운수업(36.0%→51.7%), 부동산업(45.4%→59.8%) 등 취약업종에서의 이자보상비율 100% 미만 기업 비중 상승폭도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자보상비율이 100%라는 것은 영업으로 벌어들인 돈을 대출이자로 다 쓴다는 의미다.
한국은행은 "향후 대내외 경영환경 악화로 기업의 재무건전성 저하 가능성이 잠재해 있는 만큼 취약기업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며 "특히 금융위기 이후 크게 증가한 부동산업 대출이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부실우려가 커질 수 있으므로 금융기관은 리스크 관리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장기적으로는 회생가능성이 낮은 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노력을 지속할 필요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