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00년전 임시정부의 발자취를 각종 문헌과 기록, 인터뷰에 기반해 시간순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간 임시정부가 중국내 8곳의 도시를 전전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가상의 주인공 '나'를 앞세워 내러티브 방식으로 재구성했습니다.[편집자주]글 싣는 순서 |
①100년 전 상해 임시정부는 어떻게 수립됐나 ②100년전 4월 혁명의 거점 상해에선 무슨일이 ③상해 떠난 임정, 각박한 생활 속 빛난 조력자들 ④중일전쟁 발발로 풍전등화의 처지 임정 |
남경에 입성해 시가행진을 하고 있는 일본군
항주에서 사분오열 되던 임시정부의 각 세력을 제대로 봉합하지도 못한 채 우리는 또 고단한 여정에 나설 수밖에 없었다.
상해에서 이동하며 국민당 정부의 도움을 줄곧 받았지만 국민당 정부와 물리적으로 거리가 멀었던 터라 실질적으론 각 도시의 성주에게 지원을 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우리는 국민당 정부의 보다 직접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 국민당 정부의 수도 남경 근처인 진강으로 청사를 옮기게 됐다.
그러나 진강과 남경이 지정학적으로는 임시정부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었으나 정작 생활의 터전이 잡힐 만하면 이동을 해야만 하는 우리의 생활은 궁핍하기 그지없었다.
김구선생과 나는 남경 부자묘 거리의 회청교 인근에 방을 얻어 생활했다. 김구 선생은 고물상으로 위장을 했고 나는 인근을 배회하는 노숙자로 행세하며 일본의 감시를 피했다.
저보성 주석의 소개로 진강에서부터 도움을 줬던 주애보 양도 같이했다. 사실 그녀는 김구 선생의 아내역할로 위장해 김구 선생을 숨겨줬다.
그녀는 본인도 끼니를 제때 채우지 못하면서 동네 식당에 들어가 거지 행색을 해 구걸을 하곤 했다. 우린 그 음식을 먹으며 하루 하루를 버텼다.
남경에서 김구와 부부로 행세하며 김구를 도운 주애보
우리와 주애보의 여정이 갈라지던 날.
"여태까지 고생해온 그대에게 여비로 100원밖에 드리지 못한다는 게 내 못내 한으로 걸리오. 독립된 조국에 들어서거든 내 그대에게 제일 먼저 보답할 것이외다."
김구 선생은 이 한마디로 만남을 정리했다. 김구 선생을 바라보던 나도 먹먹한 가슴을 누를 길 없었지만 감성에 빠질 겨를은 없었다.
김구 선생은 차리석, 김붕준 등을 각각 상해 광동으로 파견해 진강에서 와해됐던 임시정부의 봉합을 꾀했다.
그는 "이렇게 임시정부가 해체 수순을 걷게 된다면 우리가 타지에서 조국독립을 위해 하는 노력은 물거품이 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말을 되풀이하며 단결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남경에선 일본과 중국의 전쟁이 발발했다. 중국이 밀리자 일본 비행기의 남경 폭격도 심해졌다.
폭격으로 밤을 새우다시피 한 어느 날 나는 공습 경보 해제 후 깜빡 잠이 들었다.
"두두두두두두-쿵쿵쿵"
갑자기 기관포 소리가 들렸고 본능적으로 자리에서 일어나 방문 밖을 나섰다. 잠시 후 천장과 벽이 진동하며 내가 누웠던 천장이 무너져 내렸다.
※ 본 기획물은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