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달라진 시민 눈높이, 언론은 무엇을 고민해야 하나



미디어

    달라진 시민 눈높이, 언론은 무엇을 고민해야 하나

    2019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광장 촛불 그 후, 언론의 변화를 묻는다 ①]
    미디어 개혁의 성과 진단-언론 불신의 시대, 무엇이 달라졌는가?

    지난 25일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열린 '2019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광장 촛불 그 후, 언론의 변화를 묻는다'에서 '미디어 개혁의 성과 진단-언론 불신의 시대, 무엇이 달라졌는가?'를 주제로 한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 (사진=최영주 기자)

     

    언론 불신의 시대, 시민의 눈높이와 언론 그리고 언론을 둘러싼 환경은 달라졌다. 지난 이명박·박근혜 정권하에서 언론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는 사이, 불신만큼 시민들이 언론을 바라보는 시선은 상향 평준화됐다. 그렇다면 과연 현재 언론은 달라진 시민의 눈높이만큼 변화했을까.

    지난 25일 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에서 열린 '2019 한국언론정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광장 촛불 그 후, 언론의 변화를 묻는다'에서는 '미디어 개혁의 성과 진단-언론 불신의 시대, 무엇이 달라졌는가?'를 주제로 한 세션이 진행됐다.

    촛불혁명과 함께 정권이 교체됐고, KBS와 MBC 등 공영방송사를 비롯한 다수 언론사 사장과 이사회 교체가 이뤄졌다. 언론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 달라졌다. 언론과 마찬가지로 지난 정권을 거친 시민들은 언론을 '감시와 비판의 대상'으로 바라보게 됐다. 그러나 언론은 아직 달라진 시청자의 눈높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이 제기됐다.

    발제자인 김동원 한국예술종합학교 방송영상과 강사는 "이사나 사장 등 한 개인의 자격에 맞춰진 적폐 청산은 개혁의 범위를 지나치게 협소하게 만든다. 개인의 자격과 행적에 대한 시비가 길어질수록 조직의 문제는 은폐되기 쉽기 때문"이라며 "언론장악보다 더 치명적인 경우는 조직의 문제가 무엇인지 규명되지 않은 채 사장 등 핵심 인사들이 교체될 때"라고 지적했다. 적폐 청산을 인사의 문제로만 볼 것이 아니라 '구조'로서의 적폐라는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김 강사는 "최근처럼 언론사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성과에 대한 압박이 강화될 때 관료제 문화와 혁신의 외부화가 결합되면 무리한 취재경쟁과 저널리즘의 윤리를 경시하는 보도가 늘어난다"라며 "언론사간 경쟁 심화는 기자 개인뿐 아니라 보도국의 자율성을 지탱해 온 전문직주의를 약화시키고 시민과 시청자의 불신을 지속시킬 가능성이 높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몇 가지 예를 들며 시민들에게 언론은 이제 '신뢰할 정보원'이 아닌 '감시와 비판의 대상'이라고 했다. 최근 KBS의 부실 재난방송·문재인 정부 2년 특집 대담 논란, 연합뉴스TV의 인공기 CG 방송사고, MBC '뉴스데스크'의 고 장자연 씨 증인 윤지오 씨 인터뷰 논란 등 시민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김 강사에 따르면 지배구조가 바뀐 언론사 또한 여타 언론사와 다른 시선·기준으로 평가를 받을 수 없으며 도리어 높은 기대 수준과 이전 정권 시기 언론 적폐와의 비교라는 더욱 강한 평가 기준을 적용받을 수밖에 없다.

    그는 "일련의 논란들이 가져올 가장 치명적인 문제는 언론사뿐 아니라 언론 종사자가 독자나 시청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지금보다 더욱 회피하면서 폐쇄적 조직문화에 안주할 경우"라며 "지금 저널리즘에서 시민의 참여는 의견의 제시가 아닌 보다 높은 수준의 관여를 요구하고 있다. 여전히 시청자와 시민을 제보자이자 평론가로 대하는 지금의 형식적 참여 방식이 바뀌지 않는다면 '다시 국민의 품으로'라는 구호는 그저 선언에 머무를 뿐"이라고 지적했다.

    토론에 참여한 김서중 성공회대 교수(신문방송학)는 "사례를 이야기했는데, 거기 논의점이 있다. 재난방송 관련 KBS에서 치명적인 실수가 있었다. KBS가 정비한 재난방송 조치를 봤는데, 완벽하진 않지만 이야기할 것을 다 이야기한다"라며 "더 큰 문제는 이런 것들이 박제화되어 존재한다는 것이다. 언론사 내부에는 다양한 준칙이 존재하지만 문제는 그게 기본 교육이 안 되고 있다. 이런 준칙을 숙지하고 실질적으로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생각해봐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심영섭 경희사이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사장과 이사 몇 명 등을 바꿀 수는 있지만 그것만으로 (언론 정상화가) 완료되는 것은 아니다. 오래 쌓여 온 관행과 조직 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향, 어떤 속력으로 갈 것인가 고민하는 게 중요하다"라며 "문제는 시청자의 눈높이다. 시청자는 정권도 바뀌었고, 공영방송 사장도 바뀌었지만 정작 (언론사) 내부적으로는 바뀌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언론사) 내부의 치열한 고민과 그들이 고민할 시간이 줄 수 있느냐가 실질적인 해결책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