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투자·고용·생산성 향상…美잠재성장률 끌어올렸다"

금융/증시

    "투자·고용·생산성 향상…美잠재성장률 끌어올렸다"

    한국은행 해외경제 포커스 "상당기간 2%내외 유지할 듯"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잠재성장률이 꾸준히 성장하면서 위기 이전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평가됐다. 기업투자 회복, 노동시장 호조, 생산성 제고 등이 잠재성장률 회복을 이끈 것으로 분석됐다.

    2일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에 최기산 조사국 과장 등 연구팀이 게재한 '최근 미국 잠재성장률 상승 배경'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연간 잠재성장률은 2010년 1%까지 낮아졌으나 올해 2%대 초반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최근 5년간의 잠재성장률 상승 요인을 분석해 자본투입의 역할이 가장 컸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노동과 생산성 역시 잠재성장률 상승에 기여한 것을 확인했다.

    최근 5년(2015~2019년)의 부문별 성장기여도는 직전 5년(2010~14년)에 비해 요소(노동 및 자본) 투입은 0.4%p, 총요소생산성은 0.1%p 각각 확대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요소투입 중에는 자본기여도가 0.3%p 확대돼 노동기여도 확대(0.1%p)를 크게 웃돌았다.

    총요소생산성 기여도도 2015~2017년중 줄곧 0.6%p를 지속하다 2018년 0.8%p, 2019년 0.9%p로 상승세에 있었다.

    이같은 변화에는 우선 기업투자가 회복된 데 따른 영향이 작용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기간인 2008~2009년중 연평균 –10.9%로 쇠퇴했던 미국의 기업투자 증가율이 2010~2018년중에는 연평균 5.2%로 확대됐다. 이는 금융위기 이전(2000~2007년중)의 연평균 증가율(2.8%)을 압도한다.

    기업의 양호한 재무상황, 자본조달 환경과 자본수익성의 개선, 정부의 투자활성화 정책 등이 기업의 투자를 확장시킨 원동력으로 지목됐다.

     

    노동시장 호조도 잠재성장률을 견인했다. 금융위기 이후 하락하던 경제활동참가율이 2015년을 저점으로 완만한 상승세로 전환됐는데, 특히 생산가능인구 중 핵심 연령층(25~54세)에서 대폭 상승(2015년 80.9%→2018년 82.1%)이 나타났다.

    실업률 역시 2010~2014년중 8.0%에서 2015~2019년중 4.6%로 대폭 하락했다. 이같은 상황은 경기호조가 구직단념자의 노동시장 복귀 등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는 선순환이 발생한 결과로 해석됐다.

    아울러 생산성은 2010년대 들어서도 둔화세가 지속되다 지난해부터 급속 개선양상을 보이며 잠재성장률 제고에 힘을 보탰다.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추세는 1995~2003년중 3.0%에서 2004~2009년중 2.1%, 2010~2018년중 1.0%로 낮아지는 모습이었다. 그러다 지난해 1.4%로 전년(1.1%)대비 큰 폭 상승했다. 올해 1분기 노동생산성 증가율(전년동기대비)도 2.4%로, 2010년 3분기(2.7%)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연구팀은 "향후 미국의 잠재성장률은 인구구조 변화의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하고 생산성 증가를 바탕으로 상당기간 2% 내외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팀은 "생산성 증대가 R&D 투자 등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는 만큼, 대외부문의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중장기적 시계에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단기 시계에서는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성장흐름이 다소 불안정할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