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금융/증시

    국민소득 3만달러 2017년 달성…1년 당겨져

    한국은행 '국민계정 2015년 기준년 개편 결과'
    디지털공유경제 등 기술변화상 새로 반영
    기업·정부 배제한 실제 가계소득은 54% 수준

    우리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돌파한 시점이 2017년으로 1년 당겨졌다. 이에 따라 2006년 2만달러를 넘어선지 11년만에 3만달러 달성이 이뤄졌다.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민계정 2015년 기준년 1차 개편 결과(2000~18년)'에 따르면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2015년 2만8814달러로 구계열(2만7171달러)에 비해 1643달러 증가했다.

     

    이를 반영한 1인당GNI는 2017년 3만1734달러, 지난해 3만3434달러였다. 기준년 개편 이전 2010년을 기준으로 따졌을 때는 2017년 2만9745달러, 지난해 3만1349달러였다. 2001~2018년 1인당GNI의 연평균 증가율은 5.8%였다.

    기준년 개편에 따라 생산기술·산업구조 변화상이 적용되고, 부문분류 재정비 등이 이뤄진 결과다. 국제기준(SNA)에 따라 비소프트웨어 기업의 자가개발 소프트웨어 지출이 비용에서 투자로 변경되고, 숙박공유·승차공유·재능공유 등 디지털 공유경제가 반영되는 변화도 있었다.

     

    다만 실제 기업·정부 영역을 배제한 순수 가계의 소득은 1인당GNI의 54% 수준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난해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는 1만8144달러였다. 2011~2018년 연평균 증가율은 4.7%로 이 역시 1인당GNI의 연평균 증가율에 못미쳤다.

    기업이 장사를 많이 하고, 정부가 세금을 많이 걷은 것도 GNI 통계에 잡힌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은 PGDI를 따로 집계한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2.7%로 기준년 개편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2001~2018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의 연평균 성장률은 3.9%로 개편 전 성장률 3.8%에 비해 0.16%p 상승했으나, 성장률의 연간 추세는 구계열과 거의 유사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따지면 위기 이후 성장세 둔화가 뚜렷했다. 2001~2007년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5.2%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으나, 2008~2018년 성장률은 연평균 3.1%로 낮아졌다.

     



    총저축률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2017년 37.1%까지 높아졌다가, 지난해에는 최종소비 증가율이 국민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면서 35.8%로 하락했다. 30% 초반대에서 등락하던 국내총투자율은 지난해 건설 및 설비 투자가 조정양상을 보이면서 31.4%를 기록해 전년(32.3%) 대비 하락했다.

    가계순저축률은 2015년(8.4%)까지 상승세를 보이다 2016~2017년 낮아졌으나, 지난해 가계소득(4.0%)이 가계소비(3.5%)보다 더 큰 폭으로 늘어 전년(6.5%)에 비해 상승한 6.9%를 나타냈다.

    생산구조는 서비스업 비중이 커졌다. 기초가격 총부가가치 대비 서비스업 비중은 2000년 57.2%에서 지난해 60.7%로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제조업(29.3%→29.2%)과 건설업(6.1%→5.9%) 등은 비중이 낮아졌다.

    지출구조에서는 2000~2018년 GDP 대비 정부소비 비중이 상승(10.9%→16.1%)한 반면, 민간소비(54.5%→48.0%)와 총고정자본형성(31.8%→30.4%) 비중은 하락했다. 분배구조에서는 2000~2018년 처분가능소득(GNDI)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피용자보수(41.8%→45.7%)는 상승하고, 영업잉여(30.2%→26.0%)는 하락했다.

    한국은행의 기준년 개편은 1958년(1955년 기준년) 처음 국민계정통계를 발표한 이래 이번이 12번째다. 기준년 개편은 통상 5년마다 이뤄지는데, 이날 1차로 2000~2018년 시계열을 공표했다. 오는 12월에는 2차로 1953~1999년 시계열이 발표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