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GDP당 취업자 감소, 고용없는 성장 아닌 생산성 향상"

기업/산업

    "GDP당 취업자 감소, 고용없는 성장 아닌 생산성 향상"

    (사진=연합뉴스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4일 GDP(국내총생산) 10억원당 취업자 수 감소와 관련, "1인당 국민소득 증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그 자체가 고용 감소나 고용 없는 성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생산성 향상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4일 보도자료에서 한국 경제는 GDP 단위당 취업자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경제 성장과 함께 소득을 높이고 고용을 늘렸다고 말했다.

    정보통신업, 전문과학서비스업과 같이 GDP당 취업자가 감소하는 고부가가치·신산업이 성장하면서 양질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GDP 10억원 당 취업자수(취업계수)는 2000년 25.8명에서 2018년 16.8명으로 줄었다. 이는 이만큼 부가가치를 만드는 데 고용이 덜 필요하다는 의미로, 노동생산성 상승을 뜻한다. 또 1인당 국민소득 상승을 보여준다.

    한경연은 이 기간 1인당 국민소득(실질)은 1만4천989달러에서 2만6천324달러로 늘었다고 전했다.

    또 전체 일자리는 2천100만여개에서 2천700만여개로 늘었다고 말했다. 경제규모가 820조8천억원에서 1천597조5천억원으로 2배로 커져서다.

    주요 선진국에서도 비슷한 모습이 나타났다고 한경연은 말했다. 국민소득 3만달러, 인구 5천만명 이상인 30-50 클럽 6개국은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에서 4만달러로 오르면서 GDP 100만달러 당 취업자가 19.8명에서 11.5명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다만 이탈리아는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로 오른 뒤 30년째 제자리걸음이고 GDP 100만 달러 당 취업자도 10명대에서 횡보중이라고 전했다.

    한경연은 2010∼2018년 GDP 당 취업자 감소 업종에서 일자리가 산업 평균 보다 많이 늘어난 경우는 중화학공업,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이라고 말했다.

    장치산업이 많은 중화학공업은 연구개발투자 등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산업이 연 3.5% 성장하고 고용이 연 1.6% 늘어났다고 말했다.

    정보통신업은 빅데이터 등 신산업 부상으로 산업이 연 3.8% 성장, 고용이 연 2.8% 증가했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은 산업구조 고도화로 수요가 늘어서 부가가치와 고용이 각각 연 3.5%, 연 2.7% 늘어났다.

    한경연은 "3개 업종은 월 평균임금 420여만원 이상"이라며 "이와같은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창출되려면 산업고도화, 신산업을 통한 성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반면 음식숙박,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은 이 기간 일자리는 늘었지만 저임금이고 질은 좋지 않다고 한경연은 진단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