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워싱턴 한미정상회담에서 악수하고 있는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일정을 마치고 오늘 귀국한다.
문 대통령은 가장 최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만난 중국·러시아 정상과 회담하고 북한의 의중을 전해들었다.
이제 문 대통령은 한·미·중·러의 판단을 종합해 오늘과 내일 공식 방한하는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북미대화 재개와 한반도 비핵화 방안을 논의한다.
◇文, 한중러 판단 종합해 트럼프와 본격 논의이번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은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을 만났다.
시 주석은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에 대한 의지는 변함이 없고,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고 싶으며, 인내심을 유지해 조속히 합리적 방안이 모색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여기에 김 위원장이 '새로운 전략적 노선'에 따른 경제발전과 민생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외부 환경이 개선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이 대화에 의지가 있으며, 기존의 핵-경제 병진노선을 폐기하고 사회주의 경제건설에 총력을 집중하고 있는 방침을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대북 안전보장이 핵심이며 비핵화에 대한 상응조치가 필요함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대북 안전보장'이라는 말은 다양한 갈래로 해석이 가능하지만 비핵화의 대가로 북한이 바라는 군사·안보, 경제, 외교적 체제안전보장 조치 중 그들이 가장 염원하는 것은 경제와 관련된 '대북제재 완화'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다.
여기에 미국 스티븐 비건 대북특별대표가 방한 중인데, 그는 28일 외교부 이도훈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협의하고 '동시적·병행적 진전'을 거론했다. 미국이 일괄타결론을 고수하던 기존 입장에서 한발짝 물러난 것이다.
또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 25일 기자들과 만나 "우리도 대북채널이 있다"며 "북한과의 소통은 계속 원활하게 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제 문 대통령은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재확인한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강경론으로 나서던 미국의 변화 및 우리 정부의 자체 판단을 종합한 뒤, 28~29일 국빈방문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만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일정을 모두 마치고, 이날 오후 우리나라로 입국해 문 대통령과 함께 만찬을 할 예정이다.
한미정상회담은 다음날인 29일 청와대에서 열린다. 한미 정상은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정착을 위한 양국의 긴밀한 공조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 취임 뒤 8번째 한미정상회담이고, 지난 4월 미국에서 열린 회담 이후 약 80일만에 회담이다.
또 방한 중 트럼프 대통령의 비무장지대(DMZ) 방문이 성사된다면, 북한을 항햔 평화의 메시지도 기대된다.
최근 북미정상이 친서를 주고받는 등 대화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기 때문에 북한이 손짓에 응답할 경우, 조만간 북미 실무협상의 재개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인도부터 프랑스까지 숨가쁜 외교행보…한일정상회담은 끝내 불발문 대통령은 29일 G20 정상회의 마지막 일정을 소화한다.
이날 오전 문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의 3번째 세션(불평등·포용 및 지속가능 세계)의 발언자로 나서 한반도 평화가 경제발전으로 이어지고, 경제발전이 평화를 지속시킨다는 평화경제 구상을 설명할 예정이다.
이후, 캐나다 저스틴 트뤼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한반도 정세를 공유하고 상호 통상 확대방안을 논의한다.
이 일정을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은 2박 3일간의 G20 정상회의 순방을 모두 마치고 귀국한다.
문 대통령은 G20 순방 기간 중 중국·러시아 외에도 인도·인도네시아·프랑스 정상과 만났다. 아르헨티나와 네덜란드와도 약식 정상회담(pull aside) 형식으로 양자 회담을 가졌다.
관심을 모았던 일본 아베 총리와의 회담은 끝내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일 정상은 공식 환영식에서 짧게 악수를 하고 눈빛을 교환하는데 그쳤다.
다만, 외교부 강경화 장관과 일본 고노 다로 외무상이 28일 오후 9시쯤 '깜짝 회동'을 갖고 한반도 문제와 한일관계 전반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판결과 관련한 입장을 재차 설명했으며, 양 장관은 앞으로도 장관급을 포함해 한일 외교당국간 긴밀한 소통을 통해 양국관계의 안정적 관리와 발전을 위한 노력을 계속 기울여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