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비해 지방의 가계부채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약화되고 있어 리스크 관리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가치 감소 등이 원인이다.
26일 한국은행의 '금융안정 상황(2019년 9월)'에 따르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지방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말 39.4%에서 올해 2분기말 43.5%로 상승했다.
지방 차주의 연소득 대비 가계대출 비율(LTI) 상승폭은 같은 기간 152.2%에서 207.7%로 55.5%p 뛰었다. 이는 수도권(192.3%→232.4%)의 상승폭 40.1%p을 웃돈다.
또 지방 차주는 고소득 및 고신용 비중(2분기말 61.7%, 69.7%)이 수도권(67.3%, 77.4%)에 비해 낮았다. 비은행 대출 비중은 반대로 54.1%에 달해 수도권(32.6%)을 압도했다.
자산(LTV)과 소득(DSR) 측면에서의 채무상환능력은 대출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수도권보다 여전히 취약했다.
평균 주택담보대출 LTV 비율은 수도권의 경우 2017년 이후 규제 강화와 주택가격 상승으로 하락(2012년 49.8%→올 2분기 49.4%)했지만, 지방(50.1%→56.2%)은 주택가격 하락세 탓에 수도권과 격차를 키웠다.
2분기말 평균 가계대출 DSR은 지방이 37.1%로 수도권(36.3%)을 소폭 상회했고, 'DSR 100% 초과' 대출 비중 역시 32.6%로 수도권(27.3%)보다 높았다.
한은은 "주택가격 하락에 따른 담보가치 감소, 소득여건 악화 등으로 차주의 부채상환능력이 약화되면서 지방 가계부채의 건전성이 2017년부터 점차 저하됐다"고 밝혔다.
실제로 가계대출 중 연체차주가 보유하고 있는 대출(연체대출) 비중은 수도권이 2017년 2.0%에서 올 2분기 2.0%으로 유지된 데 반해, 지방은 상승(2.5%→3.1%)했다. 지방은 특히 취약차주의 연체대출 비중이 상승(16년말 20.5%→올 2분기말 27.7%)이 두드러졌다.
지방 주택담보대출 중 연체대출 비중도 2017년 1.6%에서 올 2분기 2.1%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1.2%가 유지됐다.
한은은 "아직 지방 가계부채 문제가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다만 지방 가계부채의 구조 및 차주의 상환능력이 수도권에 비해 취약한 만큼, 지방 대출 비중이 높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 등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