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영화감독 안주영-유은정-윤가은이 펼칠 세계

영화

    영화감독 안주영-유은정-윤가은이 펼칠 세계

    [지금 주목할 여성 감독 ③]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성평등소위원회가 2009년부터 2018년까지 10년 동안 개봉작 감독 성별을 조사한 결과 여성 감독은 평균 9.7%에 그쳤다. 여성 감독은 여전히 '소수'이며, 한 작품과 다음 작품의 사이도 남성 감독보다 길고, 상업영화에 안착하는 경우가 드문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상황이 너무 오래된 탓에, 여성 감독은 너무 쉽게 '여성 감독'이라는 틀 안에 묶이고 만다. 그래서 이 기획은 '여성 감독'이라는 범주보다는 '지금 주목할'에 방점을 찍고자 했다. '보희와 녹양' 안주영 감독, '밤의 문이 열린다' 유은정 감독, '우리집' 윤가은 감독, '벌새' 김보라 감독, '메기' 이옥섭 감독, '아워 바디' 한가람 감독 등 관객들에게 자기 세계를 펼쳐보인 여섯 명의 '신예' 여성 감독을 들여다본다. 그들이 연출한 작품, 각자 가진 고유한 개성, 앞으로 펼치고자 하는 작품 세계에 관해. [편집자 주]

    CBS노컷뉴스는 영화 '보희와 녹양'(5월 29일), '밤의 문이 열린다'(8월 15일), '우리집'(8월 22일), '벌새'(8월 29일), '메기'(9월 26일), '아워 바디'(9월 26일) 개봉을 앞두고 안주영, 유은정, 윤가은, 김보라, 이옥섭, 한가람 감독을 1대1로 만났다. 이번 편에서는 안주영, 유은정, 윤가은 감독이 들려준 그들의 '과거-현재-미래'를 전한다. 대면 인터뷰와 서면 인터뷰, 언론 시사회, GV, 포럼, 특별전 등 직접 취재한 행사에서의 발언을 참고해, 일문일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모두의 답변을 받지 못한 문항이 더러 있다.

    왼쪽부터 '보희와 녹양' 안주영 감독, '밤의 문이 열린다' 유은정 감독, '우리집' 윤가은 감독 (사진=노컷뉴스 자료사진, 롯데시네마 아르떼 제공)

     

    ▶ 영화를 시작한 계기는.

    안주영 감독(이하 안주영) : 그냥 아주 어릴 때부터 부모님이 영화관을 자주 데리고 가셨다. 그 매체가 되게 익숙했던 것 같다. 자연스럽게 관련된 걸 하고 싶다고 생각했다. 학부는 (영화와) 상관없는 학부 나왔는데 원래도 (영화를) 계속하고 싶어서 (한국영화)아카데미에 들어왔다.

    유은정 감독(이하 유은정) : 학부 때 미술 이론을 전공했다가 교양으로 '영화학 개론'을 듣게 되면서 영화를 좋아하게 됐다. 첫 번째 학교 이후 한예종(한국예술종합학교)에 들어갔다가 2년 다니고 중퇴했고 한국영화아카데미에 들어갔다. 저한테는 (시작이) 좀 애매했다. 대학교 2학년 때 영화 좋아하게 되면서 영화제도 가고 미디액트에서 수업을 들었지만, 뭔가 이게 내 일이 될 것 같다거나 '나의 직업이야!' 이런 생각은 크게 안 했다. 그냥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하면서 지냈던 것 같다. 이걸 내 일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 어느 순간이나 어떤 시점이 있었던 건 아니다.

    ▶ 두 번째 영화를 만든 소감은. (* 기자 주 : '우리집'은 윤가은 감독의 두 번째 장편영화다. 첫 번째는 '우리들'이다.)

    윤가은 감독(이하 윤가은) : 이게 내 마지막, 내 유작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만들었다. (일동 웃음) 그냥 이게 마지막이 될 수 있다, 이게 지속가능한 일이 될 거라고 생각을 못 했다. 여성 감독으로서 하고 싶은 얘기가 있는데 이걸 시장에서 관객과 소통할 수 있을까? 이런 종류의 이야기를 (갖고) 한 번도 증명해 본 적이 없으니까 두려움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상태에서 두 번째 영화를 만들었고, 매번 이게 마지막이 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만들고 있다. 개봉하고 두 다리 뻗고 잘 수 있어 기쁜 게 진짜 크다. 영화를 만드는 것까지는 영화의 반 정도고, 개봉해서 관객 만나는 게 반이다. 그게 완성되는 거란 느낌이다. 사실 되게 무서웠고 되게 외롭기도 했는데 어쨌든 관객분들 앞에 선보일 수 있어서 이런저런 영화 평을 듣고, 제가 배우기도 하고 새롭게 깨닫는 게 많아서 너무 감사하다.

    ▶ 어떤 영화를 만들어야지, 하는 방향성이 있나.

    안주영 : 제 영화는 현실을 투영하는 것보다, 제가 원하고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보는 것에 가깝다. 그래서 제가 하고 싶어 하는, 원하는 걸 찍었다. '보희와 녹양' 때는 정말 머릿속에 있는 걸 아무거나 끄집어서 썼다고 생각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면 이런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이렇게 놀면 더 좋지 않았을까 생각하면서 찍었던 것 같다. 많은 분들이 좋아해주시면 좋겠지만, 일단 제가 봐도 좀 재밌는 영화였으면 좋겠다.

    유은정 : '밤의 문이 열린다'를 할 때 맨 처음 시작은 유령들은 맨날 조연으로 나오거나 (주인공들에 의해) 쫓겨나곤 하는데, 난 주인공으로 해야지 하는 마음이 있었다. (단편) '낮과 밤'에서 (장편) '밤의 문이 열린다'로 넘어올 때 어떤 것이 변했을까 답을 못 찾고 있었는데, 사실 저한테 필요한 것은 사람에게서 희망을 보는 것이지 않았을까. 그래서 마지막에 믿을 수 있는 사람이 나타나거나 그런 기미를 보이는 엔딩을 자꾸 만들어내는 게 아닌가 싶다.

    윤가은 : 작품할 때마다 계속 바뀌긴 하는데 제가 하는 이야기와 제가 만드는 과정이 일치됐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많이 한다. 좋은 이야기가 사실 뭔지 모르겠는데 제가 생각할 때는 갇힌 공간인 영화관에서 누군가의 두 시간을 오롯이 뺏는 것, 그게 감독이 원하는 거라고 본다. 관객분들이 나가실 때의 마음을 자꾸 생각하게 된다. 이야기를 쓸 때도 그렇고. 영화를 보시기 전에 힘든 일이 있었다면, 영화 보고 난 후 내 삶 안에서 '아, 그냥 마음이 좀 괜찮아졌다!', '위로를 받았다', '힘이 됐다' 하는 좀 살아볼 만한 느낌을 갖고 가는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을 제일 많이 한다. 되게 낭만적이고 순진한 생각일 수 있는데, 저는 아직도 영화가 누군가의 삶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이게 막 전면적으로 바뀐다는 게 아니라 어떤 부분에서 영화에서 용기와 위로를 받을 수 있지 않나. (제 얘기는) 그런 이야기가 됐으면 좋겠다.

    위쪽부터 안주영 감독의 단편 '옆 구르기', 유은정 감독의 단편 '낮과 밤', 윤가은 감독의 단편 '콩나물'

     

    ▶ 여성 감독이기 때문에 겪은 불편하거나 부당한 일이 있는지.

    유은정 : 너무 많고 자연스러워서. (웃음) 한편으로는 내가 여성 감독이기 때문에 더 오기가 생기고 그래서 꾸준히 영화를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이 오히려 드는 것 같다. 더 버텨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미 내가 여성이라는 소수자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 이야기가 가치가 있고, 전형적인 영화와 다른 지점을 가졌다고 본다.

    ▶ 영화를 만들며 잃고 싶지 않은 마음가짐이 있다면.

    유은정 : 작업하면서 나 자신을 소외시키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나라는 사람이 아예 없는 작업을 하면 '이걸 내가 왜 하고 있을까?'라고 할 수 있으니까.

    ▶ 여성 감독을 꿈꾸는 이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이 있나.

    안주영 : 마지막일 수도 있다. (웃음) 예전에 제가 선배한테 들은 말이 있다. 어차피 다들 좋아서 하는 일일 거다. 영화가 누가 시켜서 하는 게 아니니까. 좋아서 하는 거니까 최대한 즐기면서 하면 좀 더 오래가지 않을까. 힘들 때마다 자꾸 그런 생각을 했던 것 같다. 괴롭긴 한데 결국은 내가 좋아서 하는 거고, 이렇게까지 할 수 있는 것도 되게 운 좋은 상황이니 마음가짐을 좀 다르게 먹어야하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 같다.

    ▶ 차기작 계획은.

    유은정 : 두 번째로 만들려고 쓰는 건 친언니를 아주 좋아하는 아이에 대한 이야기다.

    윤가은 : '아이들 이야기를 평생 하겠어!' 그런 마음을 먹고 이러는 건 아니다. 근데 이번 영화를 찍으면서 그런 생각을 한 것 같다. 저한테는 (아이 시절이) 현재진행형 같은 느낌이 든다. 화자는 아이지만, 제가 아이 때 못했던 이야기를 성인이 돼서 할 기회가 이제 주어진 것 같은 느낌? 어린이들의 실제적인 고민을 담은 영화를 해나가고 싶다. 동시에 다른 관심사도 많아서 다른 종류의 이야기도 같이 해나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