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의 양호한 성장세는 전세계 GDP의 16.5% 수준인 민간소비를 바탕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미국 민간소비 둔화시 우리 경제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3일 한국은행 해외경제포커스에 조사국 안시온 과장 등 연구팀이 게재한 '미국 민간소비의 호조 배경 및 향후 여건 점검'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민간소비 호조에 힘입어 다른 주요 선진국에 비해 양호한 성장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2.9%였던 미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2.4%로 전망된다. 이는 유로지역(지난해 1.9%, 올해 전망 1.2%)이나 일본(0.8%, 0.9%) 등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연구팀은 미국은 전체 GDP 가운데 68%(2018년 명목 기준)를 차지하는 민간소비의 호조가 성장세를 견인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올해 2분기부터 수출·민간투자가 다소 둔화됐음에도 민간소비가 성장세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됐다.
미국 민간소비는 2014년 이후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경제성장의 추동력으로 작용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2013년 연평균 1.7%였다. 그러나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연평균 3.0%로 대폭 뛰었다. 같은 기간 유로지역(1.4%), 일본(0.3%), 영국(1.6%) 등을 압도했다.
이에 따라 2014~2018년 미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의 기여도는 연평균 2.0%p로 85% 비중을 차지했다. 올해 들어서도 2~3분기 중 민간소비의 기여도(전기대비 연율)는 평균 2.5%p로 민간투자(-0.7%p)나 순수출(-0.4%p)의 부진을 상쇄했다.
미국 민간소비 증가세는 고용시장 호조에 따른 가계 소득여건 개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질적 부채부담 감소와 주식시장 호조에 따른 자산 증가 덕에 양호해진 가계 재무구조, 가계 가처분소득 증가 등을 이끈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등이 원인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향후 미국 민간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는 주요 대내외 리스크 요인도 있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고용시장 위축, 미중 무역갈등, 주택시장 경기 둔화 가능성 등이 제시됐다.
미국 고용시장은 단기적으로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됐다. 다만 제조업·도매업·운송창고업의 경우 9월 취업자수 증가규모가 감소세를 보이는 등 일부 업종의 노동수요 둔화가 향후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면서 고용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미중 갈등의 경우도 최근 양국 협상 진전에도 불구하고 향후 갈등이 다시 심화돼 불확실성이 확대될 경우 민간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양국 갈등 심화시 자산효과 축소, 구매력 저하, 경제주체 심리 위축 등으로 민간소비를 억누를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주택시장 경기에 대해 연구팀은 현시점에서 둔화 가능성을 속단하기 어렵지만, 여타 부문과의 연계성이나 파급효과를 고려할 때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 민간소비의 향방에 따라 우리 경제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만큼 향후 둔화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민간소비는 지난해 기준 세계 명목 GDP의 16.5%를 차지하면서 글로벌 성장·교역을 통해 우리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주요 소비재의 대미 수출비중을 감안하면 미국의 소비 여건 변화 가능성에 대비한 제품경쟁력 강화, 신시장 개척 지속 등 국내산업의 대응 노력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