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연합뉴스 제공)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1급 발암물질인 방사성물질 '라돈'이 검출됐다는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실태조사에 나선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다음 달부터 4개월 동안 전국 공동주택(아파트) 2천 가구를 대상으로 실내 라돈 농도 실태를 조사한다.
라돈은 천연 우라늄이 방사성붕괴를 거쳐 생성돼 지구상 어디에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기체지만, 미세입자에 붙어 호흡기로 들어가면 폐암을 일으킬 수 있어 WHO(세계보건기구)에서는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다만 땅과 직접 접해있어 토양이나 암석에서 자연 발생한 라돈이 유입되기 쉬운 단독주택에 비해 아파트는 라돈 농도가 낮기 때문에 정부는 2014년 이후 아파트에는 실태조사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내부마감재로 석재 등을 많이 사용하는데다,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밀(기체가 통하지 않는 성질)성능을 높인 부작용으로 비교적 환기가 덜 되는 바람에 최근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라돈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밀성 강화에 따라 환기설비 설치가 의무화되는 등 건축 여건이 크게 바뀐 2008년 이후 준공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지역별 조사 표본수를 추출한 뒤, 해당 지자체의 추천을 거쳐 조사대상을 확정짓고 실태조사를 재추진하기로 결정했다.
환경과학원은 실내외 온도 및 압력차가 크고 환기 횟수가 낮아 라돈 농도가 높아지는 겨울철을 맞아 침실이나 거실 등 주요 생활공간에 라돈 검출기를 설치해 90일 동안 측정한 뒤 회수하는 방식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3년간 공동주택 실내 건축내장재 등 건축자재의 유통 현황을 조사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실내마감재의 실내공기 중 라돈 기여율 등을 분석하겠다고 밝혔다.
또 실내내장재에 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라돈 차폐재 효과도 평가하는 등 저감방안을 마련하도록 관련 연구도 추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