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일용근로를 해서 생계를 이어가는 A씨. 최근 건설현장에서 일용근로를 하다 허리를 다쳐 6개월 동안 쉬게되자 걱정이 태산이었다.
가장인 그의 수입이 끊겨 아이돌봄 일을 하는 아내의 월 소득 50~60만원이 가족 소득의 전부가 됐지만 이 돈으로는 아이를 합쳐 일가족 3명의 생계를 이어 나가긴 무리였다.
가장이 다쳐 살림이 날로 궁핍해져가던 이 가정이 생활고와 고투를 벌일 무렵, 예상치 못했던 구원의 길이 열렸다. '구청을 방문하면 살길이 있을거야'라는 실낱 같은 희망을 안고 A씨는 지난 3월 성수1가동 주민센터를 직접 찾아가 어려운 사정을 털어놨다.
A씨의 사정을 들은 동주민센터는 A씨가 '서울형 긴급복지'의 지원대상이 된다고 판단,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신속한 지원결정을 했다.
3인 가구 생계비 70만원(월)과 자녀교육급여 35만2700원(중학생)이 이 가정에 지원되면서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이 돈으로 아버지의 부상을 제대로 치료할 길이 열려 A씨는 정기적인 물리치료를 받아 건강을 회복했고 "현재 다시 일자리를 찾아보는 중"이라고 구청 관계자는 전했다.
학교에 다니던 자녀는 서울시의 추천으로 모 장학회 장학금을 받게 돼 돈 걱정 없이 학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됐고, 민간.지역사회 연계 지원으로 현금 20만원과 생필품세트도 가족에게 전달돼 A씨 가족은 점차 경제적 곤궁함을 극복하고 안정을 찾아갈 수 있게 됐다.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청년 가장인(1인가구) B씨는 잘못 써준 보증 때문에 어려움에 처한 경우다. 빚보증의 여파로 신용불량자로 전락했고 일용근로로 근근이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공황장애, 스트레스 장애까지 덮쳐 앞길이 막막했다.
2달째 월세를 내지 못하고 찜질방을 전전하던 B씨는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보건복지부 콜센터에 전화를 걸어 지원을 요청했다.
복지부를 통해 B씨 사정을 접하게 된 서울시는 기초생활수급자로 편입시키기로 결정하고 이 기간동안 생계가 가능하도록 고독사 예방 1인가구 생계비 30여만원과 주거비(1인 최대 100만원)를 2회 지원해 B씨로 하여금 우선 급한 불을 꺼도록 조치했다.
그리고 채무를 해결할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를 연계해 채무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할 길을 터줬다.
위의 두 경우는 그나마 본인들이 의지를 갖고 위기를 헤쳐나간 경우지만 아예 구원의 손길을 찾는 일마저 포기해 버리는 경우가 잇따라 최근 일가족 자살사건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서울시는 이런 현실을 감안해 ▲아파트관리비 체납가구와 ▲휴폐업사업자, ▲세대주가 사망한 가구에 대한 조사도 처음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또, 소액건강보험료지원 대상자와 모텔.고시원 등 비주택 거주자에 대한 전수조사도 실시한다.
특히, 전세보증금 등 재산 때문에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없애기 위해 서울형 긴급복지지원 재산기준을 2억4200만원→2억5700만원으로 완화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긴급한 위기가구는 '선 지원 후 심사'를 통해 적기에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고, 공적지원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취약계층(중위소득 100%이하)은 희망온돌위기긴급기금을 통해 주거비와 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