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5세기 고구려 방식 본뜬 신라 금귀걸이 발굴

문화재/정책

    5세기 고구려 방식 본뜬 신라 금귀걸이 발굴

    포항 대련리 유적에서 나온 금제굵은고리귀걸이(사진=문화재청 제공)

     

    굵은 고리 아래에 동그란 구형(球形) 장식, 그 아래 뽀족한 원뿔 장식을 매단 금귀걸이.

    신라와 고구려의 교류 사실을 밝힐 수 있는 금제 귀걸이가 경북 포항 대련리 유적에서 출토됐다.

    문화재청은 화랑문화재연구원이 발굴 조사 중인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진입도로 구간의 포항 흥해읍 대련리에서 금제굵은고리귀걸이(금제태환이식) 1쌍을 비롯해 금제가는고리귀걸이(금제세환이식) 2쌍, 은제팔찌 1쌍 등의 장신구류와 다수의 토기가 출토됐다고 18일 밝혔다.

    대련리 유적에서는 돌덧널무덤(석곽묘) 1기와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 6기 등 모두 7기의 무덤이 조사됐다. 대부분이 도굴 당했으나, 유적에서 가장 큰 돌방 길이 5.3m, 너비 1.8m의 4호 무덤은 도굴을 피했다.

    금제가는고리귀걸이 등 유물들은 4호 무덤에서 출토됐다.

    금제가는고리귀걸이는 각각 중심고리에 샛장식(귀걸이 고리와 드리개 가운데 부분을 이루는 장식), 드리개(매달에 길게 늘인 물건)가 결합된 구조다. 천마총과 서봉총, 보문리 부부총, 창녕 송현동고분 등에서 비슷한 귀걸이가 출토된 적이 있다.

    고구려 방식을 모방한 금제굵은고리귀걸이는 중심고리 아래 중앙에 샛장식과 원뿔형의 드리개가 결합돼 있다.

    조헌철 화랑문화재연구원 연구원은 "마지막 구 형태로 되어 있는 샛장식과 원뿔형 드리개가 고구려 양식"이라며 "부분적으로 보면 고구려 양식을 모방하거나 영향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충북 청원 상봉리, 서울 능동, 강릉 병산동 등에서 이와 유사한 형태의 귀걸이가 출토됐다.

    다만 대련리 유적에서 출토된 귀걸이는 샛장식에 새김눈금선대(각목대)가 존재해 샛장식 아래쪽의 원반상 장식이 생략되는 등 전형적인 고구려산 귀걸이와 차이가 있다.

    이와 함께 돌방 남쪽 끝의 껴묻거리 공간에서는 그릇받침, 긴목항아리 등 다양한 형식의 토기 수십 점이 출토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5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는 금제귀걸이와 토기들은 경주 외곽에 해당하는 포항 일대의 굴식돌방무덤 수용 시기와 경로, 그리고 신라와 고구려의 교류관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