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뇌 속 억제성 시냅스 조절 기전 규명…"신규 뇌전증 치료제 개발 기대"

IT/과학

    뇌 속 억제성 시냅스 조절 기전 규명…"신규 뇌전증 치료제 개발 기대"

     

    DGIST뇌·인지과학전공 엄지원 교수, 고재원 교수 공동연구팀이 억제성 시냅스 기능을 조절해 뇌전증을 치료할 수 있는 신규 후보표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는 난치성 뇌질환 중 하나인 뇌전증 등의 신규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뇌전증은 우리나라 인구의 1%에 이르는 높은 유병율을 보이는 뇌질환 중 하나로, 중추신경계의 약 30% 이상이 기존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타입이다.

    고혈압, 당뇨병, 뇌출혈 등과 동반 발생하는 뇌전증 경련은 전체 인구의 10~15%에 달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뇌의 어느 부분에서 시작되며, 어떻게 뇌의 다른 부위로 퍼져 나가고, 이에 따른 증상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기전들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엄지원 교수 연구팀은 뇌질환과 연관된 억제성 시냅스의 발달을 매개하는 핵심 분자들을 꾸준히 발굴하고 그 기능을 연구해 왔다.

    연구팀은 지난 2016년 억제성 시냅스 단백질인 IQSEC3를 최초로 발견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IQSEC3 단백질이 기억, 학습 등 뇌의 고등기능을 매개하는 부위인 ‘해마 치아이랑’ 내 신경회로 활성을 조절하여 억제성 시냅스 발달을 매개하는 새로운 분자기전을 발견했다.

    엄지원 교수는 “뇌신경세포 신경전달을 조절하는 소마토스타틴이 억제성 시냅스 발달을 매개하는 중요 단서를 찾았다”며 “뇌전증 뿐 아니라 흥분성-억제성 균형이 망가져 발생하는 다양한 난치성 뇌질환의 신규 치료 전략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고재원 교수와 엄지원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김승준, 김현호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이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