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제주 4.3 사건 추념식에 참석해 코로나 19사태 속에서의 '연대와 협력'을 재차 강조했다.
이는 지난달 27일 서해수호의날 기념식행사에서와 마찬가지로 위기 속 사회 통합 메시지를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또 문 대통령은 희생자들의 배보상 문제 등 4.3 사건의 완전한 해결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을 다시금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제주 평화공원에서 열린 4.3사건 제 72주년 추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2018년 이후 임기 중 2번째 참석이다. 역대 대통령 중 추념식에 2번 이상 참석한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평화를 위해 동백꽃처럼 쓰러져간 제주가 평화를 완성하는 제주로 부활하길 희망한다"며 "희생자들이 남긴 인권과 화해, 통합의 가치를 가슴 깊이 새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국가폭력과 이념에 희생된 4·3 영령들의 명복을 빌며 고통의 세월을 이겨내고 오늘의 제주를 일궈내신 유가족들과 제주도민들께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바친다"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우리는 '코로나19'를 극복해야 하는 매우 엄중하고 힘든 시기에 다시 4·3을 맞이했다"며 "'연대와 협력'의 힘을 절실하게 느끼며 그 힘이 우리를 얼마나 강하게 만들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사회통합 메시지를 재차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4·3은 왜곡되고 외면당하면서도 끊임없이 화해와 치유의 길을 열었다"며 "2013년, 4·3희생자 유족회와 제주 경우회가 화해를 선언하고, 매년 충혼묘지와 4‧3공원을 오가며 함께 참배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에는 군과 경찰이 4·3 영령들 앞에 섰다"며 "무고하게 희생된 제주도민들과 유가족들께 공식적으로 사과를 드렸고, 4·3의 명예회복과 상처를 치유하는 데 동참할 것을 약속했다. 유가족들과 제주도민들도 화해와 상생의 손을 맞잡아주었다"고 사과와 화해의 사례를 들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화해와 상생의 정신은 '코로나19' 속에서도 도민들의 마음을 하나로 묶어주고 있다"며 "제주는 "우리동네 우리가 지킨다"는 운동으로 43개 읍면동, 60개 단체가 2만7천여 곳에 달하는 다중 이용시설에서 방역활동을 전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함께 "4·3의 해결은 결코 정치와 이념의 문제가 아니"라며 "이웃의 아픔과 공감하고 사람을 존중하는 지극히 상식적이고 인간적인 태도의 문제"라고 4.3사건의 완전한 해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저는 대통령으로서 제주 4‧3이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이라는 인류 보편의 가치로 만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제주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발간, 각계 피해 상황 정리 등 그간의 진상규명의 성과를 소개하며 "진실은 용서와 화해의 토대"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위령제단에 분향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어 문 대통령은 "진실의 바탕 위에서 4‧3 피해자와 유족의 아픔을 보듬고 삶과 명예를 회복시키는 일은 국가의 책무"라고 말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은 "4·3의 완전한 해결의 기반이 되는 배상과 보상 문제를 포함한 '4‧3특별법 개정'이 여전히 국회에 머물러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제주 4·3은 개별 소송으로 일부 배상을 받거나, 정부의 의료지원금과 생활지원금을 지급받는 것에 머물고 있을 뿐 법에 의한 배·보상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더딘 발걸음에 대통령으로서 마음이 무겁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정부는 2018년, 그동안 중단됐던 4‧3희생자와 유족 추가신고사업을 재개하고, 4.3 사건의 희생자 90명, 유족 7,606명을 새롭게 인정하는 등 노력을 계속해 나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부친의 희생 장면을 목격한 후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고통받아온 송정순 님을 4·3희생자 중 최초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인한 희생자로 인정해 매우 뜻깊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앞으로 단 한 명의 희생자도 신고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추가신고의 기회를 드리고, 희생자들의 유해를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유해발굴과 유전자 감식에 대한 지원도 계속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에서 편지를 낭독한 희생자 유족 김대호 군을 격려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또 문 대통령은 4생존희생자와 유족들을 치료하기 위한 4.3 트라우마센터를 국립 트라우마센터로 승격시킬 수 있도록 입법적 노력 등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유족들에게 "동백꽃 지듯 슬픔은 계속되었지만 슬픔을 견뎠기에 오늘이 있다"며 아직은 슬픔을 잊자고 말하지 않겠다. 슬픔 속에서 제주가 꿈꾸었던 내일을 함께 열자고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정부는 제주도민과 유가족, 국민과 함께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을 향해 한 걸음 한 걸음 전진하겠다"며 "4·3에서 시작된 진실과 정의, 화해의 이야기는 우리 후손들에게 슬픔 속에서 희망을 건져낸 감동의 역사로 남겨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간소하게 진행됐다. 지난 2018년에 1만 5000여명이 참석했지만 이번엔 150여명으로 축소했다.
행사에는 4.3 희생자 유족회장 등 유족 60여명, 4.3 평화재단 이사장, 4.3 실무위원회 제주지역사회 대표 등 유관단체 관계자와 법무부장관, 지자체를 대표해 제주지사가 참석했다.
정치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 미래통합당 심재철 원내대표, 민생당 장정숙 원내대표, 정의당 심상정 대표가 참석했다.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건강상 이유로 이날 행사에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