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학일 기자의 포인트 뉴스''는 오늘의 주요뉴스 핵심을 ''쪽집게''처럼 집어 준다. [편집자 주]
ㅇ
부산저축은행이 지난 2월 영업정지 되기 전에 돈을 빼준 사람들은 당초 알려진 대로 30여명의 VIP 고객만이 아니었다.
저축은행 임직원의 친인척, 지인들의 예금도 따로 연락해 금융실명제법을 어겨가며 돈을 미리 빼주었다. 약 2백여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평소 부산저축은행의 하루 예금 인출량은 2백억 원 정도이다. 그러나 영업정지가 되기 사흘 전인 2월 14일에 312억 원, 15일 441억 원, 바로 전날인 16일에는 573억 원이 인출됐다.
부산저축은행이 VIP 고객과 임직원의 친인척, 지인들을 선별해 미리 예금을 빼준 것으로 확인되면서 금융권 모럴 헤저드의 극치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금융당국의 역할이다.
금감원은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 전에 선별적으로 돈을 인출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금감원은 영업 정지 하루 전인 16일 밤 9시쯤에는 고객들이 오지 않는 상황에서 예금을 무단으로 송금하고 있다며 이를 금지한다는 내용의 공문도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게다가 부산저축은행 현장에는 3명의 금감원 감독관이 파견나가 있었다.
사실 영업을 정지하기 전날 밤 부산저축은행의 4개 지점은 불야성였고, 예금 인출로 소란스럽기 그지 없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현장에 파견나간 감독권이 이런 상황을 감지하지 못한 것은 납득할 수 없고 따라서 ''눈뜨고 당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특히 부산저축은행 대표들이 금감원과 영업정지 여부를 논의하고 부산에 내려간 다음 직원들 사이에 ''''영업정지설''''이 확산됐다는 점에서, 금감원이 예금 대량 인출 사태를 자초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금감원은 현장 감독관들이 당시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의 가치 평가나 건전성 분류, BIS 비율 점검 등에 감독의 초점을 맞추느라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