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앞서 간 손학규…고민 깊어지는 '鄭' 과 '丁'

ㅏㅓㅛㅎ

 

민주당 손학규 대표가 4.27 재보선 분당을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손 대표와 함께 민주당내 이른바 '빅3'로 불렸던 정동영, 정세균 최고위원의 정치적 행보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이 손학규 체제로 빠르게 재편되면서 팽팽하게 유지됐던 '빅3'간 긴장관계가 깨지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것.

일단 이번 선거를 계기로 정동영, 정세균 최고위원은 야권의 대선 주자 경쟁에서 손 대표에게 한 발짝 밀린 것으로 평가된다.

사지(死地)인 분당을에서 정치적 위험을 감수하고 출마해 승리하고 돌아온 손 대표와 경력이 비교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정동영 최고위원의 경우 지난 총선에서 서울에서 도전했다가 낙마한 것은 손 대표와 같지만 민주당의 텃밭인 전주 재보선을 통해 국회에 입성한 전력이 꼬리표가 되고 있다.

당장 비주류 모임이었던 쇄신연대가 발전적인 해체를 도모하고 있고, 의원들 상당수가 선거를 전후해 손 대표 쪽으로 확실히 돌아섰다는 말이 나온다.

무엇보다 내년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기 전까지 분위기를 역전시킬 기회가 많지 않다는 것이 두 사람의 고민이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노동이나 복지 등 정책 현안에 공을 들이며 향후 야권연대나 통합 과정에서 진보적인 정체성으로 입지를 굳힌다는 전략을 세워왔다.

이번 선거 기간에 다른 최고위원들이 가기를 꺼려했던 순천에 가장 먼저 내려가 민주노동당 김선동 후보를 위해 유세에 나선 것도 그같은 계획의 일환이다.

하지만 야권연대 논의는 당 대 당이 움직여야 하는 사한으로 개인이 주도적으로 나서기 쉽지 않고, 특히 당 통합론에 대해서는 민주노동당이나 진보신당에서 회의적인 시각이 지배적이어서 어려움이 예상된다.

'빅3'중 가장 먼저 대선 행보를 시작한 정세균 최고위원은 당내 탄탄한 조직력을 가지고 있지만 인지도면에서 밀린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두 사람이 대권에 무모한 도전을 하기보다는 안정적으로 당권을 잡으며 영향력을 유지하는 쪽으로 궤도를 수정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조심스레 나온다.

당 핵심 관계자는 "대권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당권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도 있다"며 "특히 내년 총선 공천 문제 등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에 대권에 도전하면서 손 대표와 적이 되는 것보다 당권으로 방향을 돌리는게 본인이나 주변에도 이득이 되는 측면이 있다"고 내다봤다.

2012년 총선을 앞두고 선출되는 당 대표 자리는 당세를 키우고 정치적인 실리를 챙길 수 있어 의미가 남다르다는 것이다. [BestNocut_R]

하지만 두 사람의 당내 입지상 대선 레이스를 중도에 포기하고 당권으로 목표를 하향 조정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만만찮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달리는 말에 올라탔다면 끝까지 가야지 말에서 내리려다 크게 다칠 수 있다"며 "주변에서 내려오라는 사람들이 있어도 본인들은 완주를 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갈림길에 선 두 사람이 대선 레이스에서 완주하며 역전을 꾀할지, 아니면 당권이라는 다른 판으로 옮겨갈지 이들의 행보가 주목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