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이창현 KBS 이사 "도청의혹, 책임 면키 어려운 상황"

kbs

 

- 현상황으로도 책임 면키 어려워
- 법적 제재 이전 사회적 책임져야
- 공영방송으로서의 위상 약화 걱정
- 오늘 이사회 "진상규명 요구할 것"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창현 KBS 이사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민주당 대표실 도청의혹을 받고 있는 KBS. 경찰수사가 진행되면 될수록 의혹은 더 커가고 있습니다. 그동안 표현을 자제해 오던 KBS기자나 PD들도 ‘아니면 아니라고 정확하게 밝혀라, 정말 창피해서 더는 못 다니겠다.’ 잇따라 성명을 내고 있죠. 하지만 지금까지 KBS경영진은 긍정도 부정도 아닌 애매한 태도를 취해 왔습니다. 그런데 오늘 KBS의 이사회가 열립니다. 이사들이 경영진으로부터 보고도 받고 질문도 하는 굉장히 중요한 자리입니다. 오늘 이 회의에 참석할 이사 한 분을 모셨습니다. KBS 이창현 이사를 연결 해 보죠.

{IMG:2} ◇ 김현정> 공영방송의 도청연루의혹의 진행과정을 보면서 이사로서 심경이 어떠십니까?

◆ 이창현> 사실 무한책임을 느끼고 있습니다. KBS는 국영방송도, 상업방송도 아니고, 수신료로 운영되는 국민의 방송이 아니겠습니까? 국민들에게 무한책임을 가져야 하는데 이번 도청 관련된 사건으로서 사실 중요한 팩트들이 좀 더 진전돼서 확인되어야 하겠습니다만, 현재의 상황에서도 책임을 면하기 어려운 상황이 아닌가 생각이 들고요. 이것 때문에 KBS의 여러 가지 공영방송으로서의 위상이 약화되지 않을까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현재까지 만으로도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고 하셨어요. 도청 사건이 일어난 후에 이사회가 열렸던 적이 있다고 제가 아는데요. 도청사건에 대해서 그 자리에 있었는지, 도청을 했다, 안 했다, 이사들에게는 밝혔습니까?

◆ 이창현> 도청과 관련된 사건에 대해서 특별히 이사회에 별도의 보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요. 언론사에서 일반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는 정도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던 사안이고요. 오늘이 더 중요한 것은 김인규 사장이 오전에 긴급 담화문을 발표 하고 있고, 오늘 오후 4시에 이사회 개최 예정입니다. 사실 이사회에는 여러 가지 안건들이 일상적으로 올라오는데요. 오늘 긴급현안으로 이것에 대해서 다루게 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공영방송으로서의 현재 위기상황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겠는가라는 문제고요. 그것의 핵심적인 문제는 일단 기자의 여러 가지 행위에 대한 실질적인 팩트를 중심으로 한 진상규명이 무엇보다 중요하고요. 그런 것들을 통해서 자칫 공영방송의 위상의 약화를 좀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어떤 방안들을 모색해야 되겠죠.

◇ 김현정> 진상규명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럼 오늘 어떤 질문들을 그 자리에서 하실 생각이신가요?

◆ 이창현> 여러 가지 구체적인 사항들을 얘기하게 되겠는데요. 현재 경찰 발표에 많이 의지를 하고 있어요. 그런데 도청의혹을 받고 있는 관련자들의 진술이 일관되지 않는다는 것이고요. 보통 스스로 과거 1차에는 용의자였는데 2차에는 피해자라는 식, 또는 노트북이나 핸드폰 분실이라는 것들이 구체적으로 택시에 있었다고 진술했는데 사실이 아니라는 이런 얘기들을 하고 있어요. 그런데 사실 경찰들도 그때그때 언론의 요구가 있겠습니다만, 이런 것들을 보도하기보다는 전체적인 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국민들에게 밝혀야 될 상황이 아니겠는가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자칫 이런 것들이 선정주의적 보도로 가는 것이 아닌가, 우려도 함께 존재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사실 지금 KBS측이 낸 성명들을 보면 애매한 부분이 많습니다. 민주당이 주장하는 식의 도청은 안 했다, 이런 식으로 지금 얘기를 하고 있는데 ‘하면 한 거고 안 하면 안 한 거지, 민주당이 주장하는 식의 도청은 뭔가?’ 이 부분이 국민들은 굉장히 답답하고요.

또 하나, 지금 당사자로 지목된 진술이 거짓 진술로 밝혀졌다는 거죠. 대표자실에 마이크를 놓고 온 장본인으로 지목이 된 상태에서 조사를 받고 있는데, 한선교 의원이 녹취록을 공개하는 날 국회에 없었다고 했지만 CCTV 확인결과 국회에 있었고요. 핸드북, 노트북도 택시 안에 놓고 내려서 없다고 했는데 이것도 역시 거짓으로 밝혀졌고요. 이러면서 국민들 불신은 커갑니다. 이쯤 되면 KBS가 나서서 뭔가를 해야 되는 거 아닌가요?

◆ 이창현> 말씀하신 것처럼 여러 가지 위기상황에 봉착해 있는 것이 사실이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영방송 KBS의 가치라는 것은 일반 국민들의 기억 속에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80년대 전두환 대통령 당시 이른바 땡전뉴스가 있지 않았습니까? 그러한 것들이 어쩌면 당시 군부, 신군부의 통치를 위해서 국영방송화를 했던 것입니다. 그런 것들에 대해서 사실 80년대 후반에 수신료 거부운동도 있었고, 우리 국민들이 거기에 대해 저항했었던 역사들이 있는데요.

이렇게 국민들의 기억 속에서 KBS가 어떻게 존재할 수 있겠는가라는 문제점들, 현재 여러 가지 의혹들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인데요. 이런 현실 속에서 구체적으로 방안들을 마련하지 않게 되면 자칫 KBS가 공영방송 신뢰의 위기로 더욱 봉착할 수 있겠다는 것들이고요. 무엇보다 경찰은 가장 팩트를 중심으로 해서 진상을 규명해야 되는 것이고요. 사실 KBS의 어떤 사장이나 여러 본부장들도 이러한 진실 규명에 있어서 경찰의 힘에만 의지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국민들에게 잘잘못을 가리고, 그런 부분에서 국민들에게 더 이상 의심을 받을 행동을 하기보다는 좀 더 구체적인 진실을 밝힐 때가 된 것이고, 오늘 이사회에서도 그러한 논의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 김현정> 최종 심의의결기구니까 오늘 그 자리에 김인규 사장도 참석하십니까?

◆ 이창현> 물론 그렇고요.

◇ 김현정> 이사이시고 또 언론학자니까 이 부분도 아마 고민을 하고 계실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이 의혹이 결국 사실로 밝혀질 경우에 경영진은 어떤 책임을 져야 될까요?

◆ 이창현> 아직 구체적인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말씀을 드리기는 어렵고요. 현재 KBS의 위기상황에 대해서 모든 사람들이 무한책임을 느껴야 합니다. 또는 책임을 져야 하죠. 저도 KBS이사로서 이 무한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기자들이 취재과정에서 일단 국민들이 생각하시기에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고 한다면 공개하고 국민들에게 평가를 받아야 되는 것이죠.

이 점에 대해서 이것이 단지 경찰의 조사, 법적인 제재의 대상이 되는지 안 되는지 보다는 국민들이 수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마 국민들이 어느 정도 이해해 줄 수 있다는 생각이 들고요. 다만 국민들이 이해할 수 없다, 문제가 된다고 한다면 그 점에 대해서 KBS의 현재 담당하시는 분들이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사실 공영방송을 이끌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경영적인 책임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을 가져야 하는 것이고요. 핵심이라는 것은 공영방송의 최고의 가치인 국민적 신뢰, 공정성, 이런 것들이어야 합니다.

◇ 김현정> 그러면 지금은 어떤 상황이라고 보십니까? 국민투표 할 수 있는 일도 아닌데요?

◆ 이창현> 그렇죠. 현재의 상황이라는 것은 KBS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위기의 상황에 봉착해 있는 것이 사실이고요. 그러한 것들 속에서 제일 먼저, 가장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진실을 밝혀야 되는 것이고 그런 진실규명에 있어서 경찰과 KBS, 모든 사람들이 더 이상은 좀 뒤로 물러설 수는 없다, 왜냐하면 국민들이 많은 의심의 눈초리를 보여주고 있고요. 또 그와 함께 KBS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가치들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있거든요. 그걸 유지하고 싶은 생각도 함께 가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 김현정> 오늘 말씀 대단히 고맙습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