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부산저축은행의 고문 변호사인 박종록 변호사가 부산저축은행의 퇴출을 앞두고 김진모 청와대 민정 2비서관(45 사법연수원 19기)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김홍일 검사장)는 부산저축은행 퇴출 저지 로비 의혹을 받고 있는 박 변호사를 지난달 24일 소환 조사하는 과정에서 김 비서관을 접촉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변호사는 검찰 조사에서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의 조사를 받던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탄원서를 작성해 청와대에 접수시킨 뒤 친분이 있던 민정수석실 관계자를 찾아가 만났다"고 진술했다.
박 변호사가 지목한 민정수석실 관계자는 김진모 민정 2비서관으로 김 비서관은 지난 2009년 9월 법무부 정책기획단장을 끝으로 검찰을 떠나 현재 청와대에서 근무 중이다.
청와대 민정2비서관은 옛 사정비서관 자리로 공직은 물론 일반 기업들의 부정부패에 대한 정보 등을 검찰과 공유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이에 대해 김 비서관은 CBS와의 전화통화에서 "검찰 수사와 관련된 내용이라 직접 말하기는 적절치 않다"며 박 변호사를 만났는지를 묻는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또 "(박 변호사가) 청탁했다는 것과 관련해 권재진 민정 수석이 거절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검찰 수사에서 누가 지목되고 누가 어떻게 되고 하는 건 확인할 처지에 있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박 변호사는 지난해 말 권재진 청와대 민정수석에게 ''부산저축은행을 잘 봐달라''는 전화를 걸었던 것으로 밝혀진 바 있어 청와대 관계자들을 잇따라 접촉한 배경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박 변호사가 권 수석과 김 비서관을 만나거나 만나려 시도했던 지난해 말은 7조원대 금융비리를 저지른 부산저축은행이 퇴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총력전을 펼친 시기였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박 변호사가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퇴출저지 청탁과 함께 고문료 외에 다른 금품을 수수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박 변호사는 그동안 "부산저축은행으로부터 월 200만원씩 4개월에 걸쳐 고문료 800만원만 받고 정당한 고문활동을 벌였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검찰은 박 변호사로부터 이런 진술을 확보하고도 아직 김 비서관을 상대로 만남이 이루어지게 된 배경이나 만남에서 어떤 대화가 오고 갔는지 등에 대해 이렇다할 조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BestNocut_R]
이와관련해, 대검의 한 고위 관계자는 CBS와의 전화통화에서 "수사가 진행중인 사항이라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밝혔다.
또, 박 변호사 역시 "검찰에서 진술한 것과 관련해 할 말이 없다"며 급하게 전화를 끊었다.
이런 가운데 박 변호사가 민정수석과의 전화통화에 이어 사정비서관을 직접 만난 만큼 부산저축은행 구명로비가 실제로 있었는지 여부를 떠나 민감한 시기에 청와대 고위 인사들이 부산저축은행측 인사를 접촉해 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부산저축은행 관련 국회 청문회가 열릴 경우 뜨거운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