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5.24 대북제재 이후 종교계 첫 방북허용…유연성 확대 신호탄

5.24 대북제재 이후 종교계 첫 방북허용…유연성 확대 신호탄

정부가 5ㆍ24 대북제재 조치 이후 처음으로 종교계의 방북 종교활동을 허용해 앞으로 사회문화교류 차원의 방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천안함 사건 이후 취해진 5.24 대북제재 조치가 시행되면서 북한 방문이 엄격히 제한돼 왔다.

정부는 대북 수해지원이나 영유아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이외에 다른 목적의 방북을 금지해 왔다.

그러나 2일 정부는 종교계의 방북 종교활동을 허용했다. 이에 따라 대한불교조계종 자승 총무원장 등 37명은 3일부터 닷새동안 북한을 방문한다.

5ㆍ24조치 이후 종교활동 목적의 방북은 물론, 남측 관계자의 평양 방문은 처음이다.

불교계는 평안북도에 있는 묘향산 보현사에서 ''팔만대장경 판각 1천년 기념 고불법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보현사는 1938년 일본의 대장경 약탈을 우려해 합천 해인사의 대장경 인쇄본 전질을 제작해수장고에 보관하고 있다.

통일부는 순수한 종교적 목적의 방북인데다 올해가 민족유산인 팔만대장경 판각 1천년이어서 방북을 승인했다고 설명했다.

통일부 안팎에서는 이번 방북 승인을 계기로 앞으로 사회문화교류 차원의 북한 방문 허용이 잇따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류우익 통일부장관 후보자는 최근 장관에 내정된 뒤 기자간담회를 갖고 남북관계의 진전과 유연성 부분을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종교계의 방북승인은 류 후보자가 언급한 유연성 부분과 관련해 상당히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정부가 대북관계에 있어 유연성을 강화해 나가고 북한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남북관계가 이른 시기에 전환점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