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부장 최재경 검사장)가 부산저축은행그룹 비리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찾아낸 책임·은닉재산이 8,000억원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검 중수부는 이를 예금보험공사에 통보했다.

26일 대검찰청이 국제 법제사법위원회 이정현(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부산저축은행에 대한 검찰 수사 착수 이후 현재까지 찾아낸 책임재산은 7,626억7,4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은닉재산은 654억1,500만원을 합치면 총 8,280억8,900만원에 달한다.

책임재산은 채권 강제집행이 가능한 채무자의 재산을 말하며, 은닉재산은 채무자가 채무를 피하기 위해 차명 등으로 숨겨놓은 재산을 의미한다.

부산저축은행그룹 관련 책임재산은 부동산이 6,825억원1,6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금융자산이 763억4,200만원, 동산 38억1,600만원 순이었다.

은닉재산은 금융자산이 520억2,400만원, 동산 87억4,600만원, 부동산 46억4,500만원이었다. [BestNocut_R]

은닉재산에는 김민영(65·구속기소) 부산저축은행장이 보관하던 월인석보 등 보물 18점을 포함한 82억원 상당의 문화재와 박연호(61·구속기소) 부산저축은행그룹 회장이 장인 명의로 보유한 아파트(시가 2억9,000만원) 등이 포함됐다.

검찰은 이와 함께 부산저축은행그룹 비리와 관련해 뇌물·알선수재 혐의로 기소된 전·현직 공무원 등 9명으로부터 23억5,800만원을 추징보전했다.

이정현 의원은 "저축은행 비리 관련자들에 대한 형사처벌 못지 않게 피해자들의 피해 회복이 중요하다"며 "유관기관과 공조를 통해 신속한 환수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