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완성도 아니고 끝도 아냐"…수요집회 1,000회 대기록

"완성도 아니고 끝도 아냐"…수요집회 1,000회 대기록

일본인 "일본정부가 공식 사죄할 때까지 함께"…日대사관 앞에 평화비 세워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일본 정부의 사죄 등을 요구하는 수요집회가 14일 1,000회를 맞았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이날 낮 12시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정대협 관계자, 정치권 인사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1,000회 수요집회를 열었다.

이날 집회에는 길원옥·김복동·박옥선·김순옥·강일출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5명이 참석했다.

ㅋㅋ

 

ㅋㅋ

 

김복동(85) 할머니는 "세상에 태어나 피어보지도 못한 채 전장터에서 일본군의 노예가 돼 허무하게 짓밟힌 역사를 국민들이 얼마나 알까"라고 탄식하며 "이명박 대통령은 일본 정부에 대해 잘못을 사죄할 것은 사죄하고 배상할 것은 배상하라고 말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일본대사에 대해 "이 늙이들이 다 죽기 전에 하루 빨리 사죄하라"고 호통을 쳤다.

길원옥(84) 할머니도 "우울하다. 일본인들이 사죄하지 않는데 1,000회라고 해서 다를 게 있느냐"며 "각자가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다시는 우리나라에 나 같은 사람이 나오지 않게 해 달라"고 수요집회 1,000회에 대한 소회를 밝혔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1,000차 수요시위는 완성도 아니고 끝도 아니다"며 "전국 곳곳, 세계 곳곳에서 울려 퍼질 함성이 결국 일본 정부를 우리 할머니들 앞에 무릎 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의 사회를 맡은 배우 권해효 씨도 "1,000회인 오늘이 기쁜 날인지 슬픈 날인지 답답한 날인지 잘 모르겠다"며 "분명한 사실은 부끄러운 역사를 후손에게 물려주지 않으려 결심하고 20년을 보낸 이 자리가 뜨겁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현장에는 위안부 피해를 기억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일본인들과 외국인들도 눈에 띄었다.

1,000회 수요집회를 참가하기 위해 가족과 함께 한국을 찾았다는 히데오후지타(80) 씨는 "역사 공부를 통해 이 문제를 알았고, 이는 한국인은 물론 일본인에게도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라며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 더 공부하고 일본인들에게 이 문제를 알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달에 한 차례씩 일본 아이치현에서 수요집회를 알리는 모임을 진행하고 있다는 미즈노 이소코씨도 회원 20여 명과 함께 수요집회를 찾았다.

미즈노 씨는 "일본 위안부 문제는 한국인과 일본인이 함께 고민해야 할 문제"라며 "일본정부가 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공식 사죄를 하는 등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계속해서 수요집회를 알려갈 계회"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영어교사로 일하고 있는 제이미(27.여) 씨도 "우연히 한국 친구를 통해서 위안부 문제를 알게 됐고, 여성으로서 이 문제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현장에는 중고등학교 체험학습을 위해 현장을 찾은 교복부대와 대학동아리 회원, 유모차부대 등까지 더해져 분위기를 달궜다.

이날 수요집회는 서울을 비롯해 부산과 울산, 대구, 광주, 경기, 경남, 전북 등 전국 곳곳과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 대만 타이베이 등 세계 16개국 주요 도시 참가자들과 연대 행사로 진행됐다.

ㅋㅋ

 

한편 이날 수요집회에서는 일본 정부가 우리 정부에 "양국 외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한 평화비도 대사관 건너편에 예정대로 세워졌다.

정대협이 시민사회의 모금을 통해 건립한 평화비는 한복을 입고 손을 무릎 위에 모은 채 작은 의자에 앉은 위안부 소녀의 모습을 높이 약 130㎝로 형상화했다.[BestNocut_R]

참가자들은 일본 정부의 전쟁 범죄 인정과 공식 사죄와 피해자에 대한 법적 배상, 책임자 처벌, 역사 교과서에 관련 사실 기록,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등 위안부 피해자들의 요구들을 구호로 외치며 일본 정부의 각성을 촉구했다.

이날 집회에 대해 일본 대사관 측은 일절 대응하지 않았다.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