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사회 일반

    2012년 판 낙선운동 '리멤버 뎀(Remeber them)'

    9일 총선유권자네트워크 출범식…기억, 약속, 심판 3가지 방향 전개

    D

     

    그들을 기억하라! (Remember them) 물어라! (Ask them) 투표하라! (Vote them)

    2000년 낙선운동을 재연할 2012년판 낙선운동이 펼쳐진다.

    2000년 당시 지금의 박원순 서울시장은 '총선시민연대'를 이끌고 부패와 부실한 의정활동, 선거법 위반 등을 저지른 부적격 후보자 86명을 선정해 낙선운동을 펼쳤다.

    낙선운동은 엄청난 반향과 관심을 불러 일으켰고 유권자들이 소중한 표를 행사하는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됐다.

    그 결과 낙선 운동 대상자 86명 가운데 59명(68.6%)이 떨어지고 수도권 후보자의 경우 20명 가운데 19명을 낙선시키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참여연대와 한국진보연대, 환경운동연합,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등 진보 성향 시민단체들은 9일 총선유권자네트워크(가칭) 출범식을 열고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표와 연결시키고 유권자의 뜻을 반영'하기 위한 2012년판 낙선 운동 '리멤버 뎀(Remember them,그들을 기억하라)'을 펼친다.

    총선유권자네트워크는 선거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선거 포털 사이트 가칭 '리멤버 뎀'을 개설해 후보자들에 대한 자료를 올리고 유권자들은 검색을 통해 후보자들의 과거에 행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012년판 낙선운동은 ' 기억(Remeber)',약속(Ask),심판(Vote) '의 세 가지 방향으로 전개된다.

    정치활동이나 공직활동에서 보여준 후보자의 정책과 발언, 행동 등을 모아 잘한 점과 잘못한 점은 '기억'하고 유권자와 단체가 요구하는 의제들에 대해 후보자들의 의견을 묻고 공약을 지키도록 '약속'을 받아낸다. 마지막으로 표로 후보자를 '심판'하는 것이다.

    이 모든 활동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투표참여 캠페인과 같은 오프라인 활동도 병행한다.

    네티즌들은 정보를 받는 데 그치지 않고, 네티즌들이 알고 있는 후보자들의 과거 행적을 올리고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또 홈페이지에 공개된 후보들의 정보를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통해 확산시키는 등 네티즌의 역할이 크다.

    시민단체들은 후보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네티즌들은 필요한 '질문과 요구'를 하는 쌍방향 선거운동이 되는 것이다.

    2000년에 이뤄진 낙선운동과 비교하면 '국민의 뜻에 맞는 검증된 후보자를 뽑자'는 뜻은 같다.

    하지만 2000년 당시 하나의 합의된 기준으로 후보자를 검증했다면 2012년판 낙선운동은 각 단체와 유권자가 제시하는 다양한 관심사에 따라 여러 방향으로 자유롭게 검증을 할 수 있게 된다.

    2000년 낙선운동을 기획했던 이태호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2000년에는 97년 금융위기 이후 정경 유착 등 정치인의 도덕성과 부패가 최대 쟁점이었다"며 "반부패 인사를 규정하는데 이견이 없었고 하나의 기준으로 판단이 가능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10여년이 지난 현재는 "유권자들의 관심사가 다양하고 사회도 다변화되면서 하나의 기준으로 후보자를 검증 하는 건 어렵다"며 "여러 분야의 다양한 기준으로 후보자의 정책을 평가할 것"이라며 변화된 낙선운동을 설명했다.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젊은 층의 높은 투표율에 기여한 'SNS를 통한 선거운동'이 법적으로 허용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인터넷상의 선거운동이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거기에 인터넷의 빠른 전송속도와 높은 이용률이 더해지면서 2000년대 낙선운동을 뛰어넘는 효과를 낼 것으로 본다.

    이태호 사무처장은 "2000년에는 인터넷이 지금만큼 보급되지 않았지만 홈페이지를 개설한 지 60일 만에 100만 명이 이용을 했다"며 "지금은 반나절이면 모든 정보가 전달되기 때문에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고 말했다.[BestNocut_R]

    2012년판 낙선운동은 소속 정당과 후보 개개인에 인지도나 이미지로 후보자를 평가했던 선거를 벗어나 후보자의 정책에 따라 투표를 하는'정책 선거’를 추구한다.

    이 사무처장은 "복지비를 올리고 세금을 내리는 등의 정책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결정한다"며 "정책으로 정치인을 결정하는 풍토를 만드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하는게 목표"라며 "꿈은 소박하다"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