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심한 자금난에 처한 세계 D램 반도체 3위이자 일본 최대 D램 반도체 업체인 엘피다가 결국은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엘피다는 27일 도쿄증권거래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쿄지방재판소(지방법원)에 회사갱생법(법정관리) 적용을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엘피다는 "지난해 3월 현재 부채 총액은 4천480억엔(약 6조2천500억원)"이라고 밝혔으며, 교도통신은 "일본 내 제조업체 파탄 규모로 사상 최대"라고 전했다.
자회사인 아키타(秋田)엘피다메모리도 회사갱생법 적용을 신청했다. 자회사의 부채 총액은 약 79억엔이다. 도쿄증권거래소는 "3월 28일 엘피다 상장을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엘피다는 D램 반도체 시황 악화로 2011 회계연도(2011년 4월∼2012년 3월)에 1천억엔(1조4천억원) 이상의 순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보여 급격한 자본잠식이 예상된다.
엘피다는 지난 15일 만기가 돌아온 대출금을 갚지 못했고, 다음달 말과 4월 초에 만기가 돌아오는 총 920억엔(1조 3천억원)을 상환하지 못하면 부도가 날 상황이었다. [BestNocut_R]
엘피다는 그동안 자금난을 타개하기 위해 일본 정부에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하는 한편 미국의 마이크론에 자본 참여를 요청했지만 교섭에 난항을 겪어 왔다.
엘피다는 차입금을 갚을 자금 조달 방안이 불투명해지자 자력에 의한 경영정상화를 포기하고 법정관리 신청을 한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엘피다는 채권·채무가 동결되는 법정관리를 받으면서, 자산 매각과 경비 절감, 공적자금 지원 등을 통해 재기를 모색할 것으로 보이지만 험로가 예상된다.
에다노 유키오(枝野幸男) 경제산업상은 "매우 유감스러운 사태"라며 "(엘피다가) 하루빨리 사업을 재건해 국내 생산을 유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더욱이, 이번 파산보호신청으로 마이크론과의 합병 가능성도 더욱 불투명해졌다.
엘피다의 법정관리 신청으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등 국내 업체들은 반사이익이 기대되고 있다.
동양증권 박현 연구원은 "엘피다는 (법정관리 신청으로) 감산 및 공정전환 작업 지연이 불가피해졌다"고 밝혔다.
HMC투자증권 노근창 수석연구원은 "주요 스마트폰 업체들이 엘피다와 거래 비중을 줄일 것으로 보이며, 이럴 경우 삼성전자와 하이닉스가 상당한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관측했다.
모바일 D램의 경우는 삼성전자(55%)와 하이닉스(25%), 엘피다(15%)가 전 세계 공급량의 95% 이상을 생산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그 동안 완만한 상승세를 보여온 PC용 D램 가격은 상승폭이 더욱 커지고, 모바일 D램의 경우 가격 하락폭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D램 세계시장 점유율은 삼성전자가 45.1%로 1위, 하이닉스가 21.6%로 2위, 엘피다와 마이크론이 각각 12.2%와 12.1%로 각각 3,4위를 기록했다.
엘피다는 1999년 일본 전자업체인 NEC와 히타치(日立)제작소의 D램 사업을 통합해 ''NEC히타치메모리''라는 이름으로 발족했지만, 세계 D램 시장에서 한국의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 밀리며 고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