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심상정 "이정희, 대선 나오려면 '정파변호인' 관둬야"

LIVE

심상정 "이정희, 대선 나오려면 '정파변호인' 관둬야"

- 골든타임의 노력 수포, 분당 기정사실
- 구당권파, 비례 4인 볼모 삼아선 안돼
- 6일 중앙위는 무효, 제명수순 밟을것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심상정 통합진보당 의원

“분당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됐다” 통합진보당 강기갑 대표가 어제 한 말입니다. 강기갑 대표 하면 그 동안 분당을 막으면서 끝까지 화합해 보자, 이렇게 외쳤던 인물인데 결국 강기갑 대표도 분당을 선언한 거죠. 이제 분당은 기정사실이 됐고요. 중요한 건 신당권파 비례의원 4명이 의원직을 유지하고 가느냐, 마느냐 이걸 놓고 논란이 시작됐습니다. 신당권파의 핵심인사죠. 심상정 의원 연결해 보겠습니다.

심상정

 

◇ 김현정> ‘분당은 피할 수 없는 현실’ 강기갑 대표의 말씀은 사실상의 분당 선언으로 봐야 되는 거죠?

◆ 심상정> 그렇습니다. 파국을 막아보기 위해서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곡기를 끊으셨는데, 마지막 골든타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갔음을 진솔하게 말씀하신 겁니다. 이제 더 이상 붕괴를 피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고요. 저희가 당을 회생시키기 위한 수많은 노력을 했는데 국민과 함께 가는 진보의 길은 끝내 거부되었습니다.

◇ 김현정> 결국 해도 해도 다른 방법이 없던가요?

◆ 심상정> 정치는 결과로 말해야 됩니다. 우리가 아무리 국민의 뜻이나 당원의 뜻을 따라 모든 노력을 다했다 하더라도 결론을 맺지 못하면 실패한 것 아니겠습니까? 더 말하면 변명이 될 것 같습니다.

◇ 김현정> 이제 분당은 기정사실이 됐고, 비례대표 의원인 박원석, 정진후, 서기호, 김제남 4명의 의원직 문제가 남았습니다. 통합진보당이라는 이름으로 당선이 됐지만 지금 신당 행을 원하는 네 분은 제명이라는 형태로 당에서 나와야만 의원직이 유지되는 건데요. 제명을 해서 의원직을 유지한 채 함께 가야 된다, 이런 입장이신 거죠?

◆ 심상정> 일단 당이 붕괴되면 통합진보당은 사실상 특정 정파의 특정 이념을 대표하는 정당으로 되거든요. 그런데 네 분의 의원은 시민사회대표로서 저희가 진보정치를 위해서 영입한 분들입니다. 이석기 의원처럼 특정정파의 회원자격으로 비례의원이 된 케이스가 아니죠. 국민들이 이분들께 비례의석을 만들어준 이유는 그동안 시민 사회활동의 경험과 능력을 진보정치를 통해서 펼치라는 것이었다고 봐요. 특정 정파를 위해 공모하라는 뜻은 아니었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분들이 구당권파의 노선과 입장에 동의하지 못해서 당을 나오기를 원하고 있다면 가능한 절차를 찾아서 그렇게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일각에서는 ‘이른바 셀프제명. 심한 말로 꼼수 아니냐. 그냥 의원직 버리고 가는 건 어떻겠느냐’ 이런 비판도 있는데요?



[YouTube 영상보기] [무료 구독하기] [nocutV 바로가기] [Podcast 다운로드]


◆ 심상정> 그런 측면이 있습니다. 그런데 당이 정상적인 상태라면 상상하기 어려운 일인데요. 지금은 그런 상태가 아니고요. 현실적으로, 또 제도적으로 가능한 것이 제명을 통한 출당이죠. 당권파에서는 이 의원들의 출당을 저지할 태세인 것 같아요. 그렇다면 당권파에서는 정치적 소신이 다른 이 네 의원을 억류하거나 또 사퇴를 요구할 것인지 제가 묻고 싶고요.

과거 한나라당조차도 입장을 달리하는 이미경 의원을 출당시켰잖아요. 그래서 정치적 소신이 현저하게 다른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의원들을 볼모로 잡아두는 식의 해법은 시민사회는 물론이고, 국민도 납득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다소 무리가 있더라도 네 분의 의원이 숨 쉬면서 존폐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지 않겠나, 그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억류, 볼모 이런 표현까지 쓰셨는데요. 그러면 이제 절차가 당기위에서 제명결정을 하면 의원총회에서 최종결정을 해서 제명하는 식인데요. 어제 신당권파가 다수인 서울시 당기위에서 일단 제명결정을 했죠?

◆ 심상정> 그렇게 들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구당권파가 부랴부랴 중앙위원회를 소집했어요. 의원총회에서 이게 의결되지 못하도록 제명에 대한 룰, 그러니까 조건을 아주 까다롭게 바꿔버렸습니다. 이 바뀐 룰대로라면 제명이 어렵게 됐거든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 심상정> 우선 어제 저녁에 중앙위를 소집 했다고 하는데요. 중앙위의 소집권자가 강기갑 대표이시기 때문에 어제 중앙위원회 이름으로 진행된 회의는 아마 당권파 그룹의 내부대책회의였다고 생각이 되고요.

◇ 김현정> 강 대표가 소집한 게 아니기 때문에 중앙위원회가 무효였다, 이런 말씀이신가요?

◆ 심상정> 그건 법적 효력이 없는 거고요. 더 중요한 것은 이제 저희가 의원총회에서 제명하는 것은 정당법상에 의거한 절차입니다. 당헌당규로 규정할 수 있는 건 아니고요. 정당법상의 의원총수 2분의 1 이상으로 제명절차를 진행하도록 돼 있어서, 그에 따라 저희가 추진을 할 예정으로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의총은 언제 소집하십니까?

◆ 심상정> 오늘 소집되어 있습니다. 오후로 되어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강 대표님 건강이 어려우셔서 시간이 어떻게 될지는 좀 봐야 되겠습니다.

◇ 김현정> 이렇게 되면서 ‘진보 쪽의 대선은 어떻게 되느냐’ 이런 얘기들을 많이 하시는데요. 우선 이정희 전 대표는 대선에 나올 거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이미 선언한 게 아니냐는 얘기도 있고. 나올 거라고 보세요?

◆ 심상정> 그렇게 선언한 것으로 봐야 되지 않겠습니까? 제가 출마여부에 대해서 뭐라고 말할 건 아닌데요. 본인이 판단할 몫인데. 다만, 무슨 일을 하든 정치를 통해서 사회에 기여하고자 한다면 정파의 변호사가 아니라 대중 정치인의 모습으로 임해 줬으면 좋겠습니다.

◇ 김현정> ‘이정희 전 대표가 대선에 나서면 구당권파들이 결집할 거고, 그렇게 되면 신당권파의 분당 동력은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이런 분석은 어떻게 보세요?

[BestNocut_R]◆ 심상정> 그런데 지금은 서로 정치공세를 할 때가 아니라고 봐요. 공멸로 가는 치킨게임은 끝내야 되고요. 지난 4개월간 저희가 정파 보스에게 복종하는 당이냐, 아니면 국민을 위해서 헌신하는 당이냐를 가지고 고통스러운 과정을 겪었지 않습니까? 서로 간에 심각한 차이도 확인했고요. 또 그 심각한 차이를 민주적 질서를 통해서 좁히고 통합할 리더십이 우리에게 부족했다는 것도 저희가 인정해야 된다고 봐요. 그래서 지금은 서로 감정적인 비난을 이어가는 분풀이상은 아니라고 보고요. 국민들과 미래를 위해서 책임질 것인가, 거기에 집중해야 된다고 봅니다.

◇ 김현정> 그러면 심상정 의원이나 유시민 전 대표, 노회찬 의원도 대선출마 생각하십니까?

◆ 심상정> (웃음)

◇ 김현정> 이 어려운 상황에 이런 질문 드려서 죄송합니다만, 청취자 질문이 많이 들어오네요.

◆ 심상정> 진보정치가 우리 사회 개혁을 위해서 해야 될 역할이 분명하고 너무나 많습니다. 그런데 그동안 오히려 국민 여러분께 근심만 안겨드리고 아무 일도 하지 못했거든요. 뭐라 드릴 말씀이 없을 만큼 송구스럽고요. 하루빨리 당이 정상화돼서 저희 당이 새롭게 채비를 갖추고, 그동안에 국민들께 제대로 못한 일들을 시작할 수 있는 태세와 조건을 만드는 것이 우선 급선무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 다음에 대선을 생각할 문제다, 이렇게 보시는 거군요?

◆ 심상정> 네, 그렇습니다.

◇ 김현정> 아직 여지는 남겨놓으신 거고요?

◆ 심상정> 여지라기보다는, 어쨌든 대선에서 진보적 정권교체를 위해서 저희가 어떤 역할이든 해야 되고요. 어떤 방법으로 기여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논의과제로 아직 남아 있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여기까지 오늘 말씀 듣죠. 고맙습니다.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홈페이지 바로가기]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