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키 작은 아이, 푹자는게 보약"

성장호르몬 숙면때 가장 왕성

11

 

공정위가 29일 '키 성장제 피해주의보'를 발령하면서 자녀의 저신장 고민을 풀어줄 올바른 해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의들은 키가 무럭무럭 자라도록 해준다는 일반 식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을 과신하지 말고,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더 낫다고 조언한다.

◈ 부모 키 가장 중요, 숙면때 성장호르몬 왕성

키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모의 키, 즉 유전적 요인이다. 자녀 예상 키의 70%이상이 부모에 의해 결정된다.

부모의 키를 통해 자녀의 예상 키를 산출하는 것이 그래서 가능하다.

남자는 부모 평균 키에서 6.5cm를 더한 키, 여자는 6.5cm를 뺀 키이다.

하지만 영양을 비롯한 외부 환경의 요소도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키를 키우려는 노력이 전혀 의미없는 것은 아니다.

성장호르몬은 잠들고 1~2시간 뒤 숙면을 할 때 가장 왕성하기 분비된다. 충분한 숙면이 키크는 데는 필수적이라는 얘기다.

더불어 단백질, 무기질 등이 풍부한 음식으로 영양 상태를 보충하는 한편 꾸준한 운동을 통해 몸 속에서 성장호르몬이 자연 분비되도록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 저신장이 아닌지 관심 가져야

또래 100명 중 세 번째로 작은 아이까지를 '저신장'으로 분류한다.

또래 평균 신장보다 10cm이상 작아도 저신장을 의심한다. 그래서 만 2세부터 사춘기 전까지 매년 성장 속도가 4cm 이하라면 관련 검사를 해봐야한다.

저신장의 원인은 다양하다. 성장호르몬이나 갑상선호르몬의 결핍, 터너증후군·러셀-실버증후군 같은 염색체 이상, 뇌종양·만성 신부전증과 같은 질병이 원인일 수도 있다.

대다수의 저신장은 유전적인 영향에 따른 것이다.

비만 역시 성조숙증의 한 원인으로 저신장을 초래할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성장을 위해서는 성호르몬이 적당히 분비돼야 한다. 하지만 성조숙증으로 성 호르몬 분비가 많아지면 성장판도 일찍 닫히게 된다.

이에 따라 당장은 발육이 빠르고 키가 커보일 수 있지만, 최종 신장은 오히려 더 작을 수 있다.

저신장을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잣대는 '뼈 나이'다.

손 엑스레이 사진을 통해 뼈 나이를 측정했을 때, 실제 나이와 뼈 나이가 일치하는데도 저신장에 속한다면, 이는 유전적 영향 등으로 인해 성인이 됐을 때도 키가 작을 가능성이 크다.

저신장이 질병 탓일 경우 원인에 대한 치료가 우선이다. 저신장의 원인이 성장호르몬 결핍증 등 다른 것일 경우 호르몬 치료를 하기도 한다.

다만 성장판이 이미 닫혔거나 뼈 나이가 너무 진행돼 성장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도움말 고대의대안암병원 소아청소년과 이기형 교수

0

0

전체 댓글 0

새로고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