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김한길 "대선 협력 안했다고? 역할 차단 당했다"



국회/정당

    김한길 "대선 협력 안했다고? 역할 차단 당했다"

    - 대선책임론보다 반성과 성찰 필요
    - 중도-진보공방보다 민생 문제 중요
    - 安 입당? 민주당 혁신이 우선

    1

     

    CBS <김현정의 뉴스쇼="">

    ■ 방송 : FM 98.1 (07:0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민주통합당 김한길 의원 (당대표 출마)

    당명도 바꾸자, 당 색깔도 바꾸자, 노선도 바꾸자. 다음 달 4일 당 대표를 뽑는 민주당 내에서 지금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오늘 2부 민주당 당 대표 후보로 나선 김한길 의원, 김한길 후보와 얘기를 나눠보죠.

    {IMG:2}◇ 김현정> 이기는 민주당을 만들겠다 하셨어요. 뭘 바꾸고 싶어서 나오셨습니까?

    ◆ 김한길> 뭘 바꿔야 되느냐고, 바꿀 게 한두 가지가 아니죠.

    ◇ 김현정> 한두 가지가 아닙니까?

    ◆ 김한길> 그렇죠. 하여간 이 대선 패배 이후에 민주당에게 미래가 있느냐 하는 말씀들 많은 분들에게서 듣고 있고요. 이제 우리가 제대로 변하지 않으면 민주당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는 것은 우리 세력이 모두가 공감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제대로 변하는 민주당을 만들고 싶다 이러셨어요. 그래서 그런지 지금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는 데는 민주당분들 모두가 동의하시는 것 같은데.

    ◆ 김한길> 그렇죠.

    ◇ 김현정> 그 변화의 방향을 두고는 의견이 좀 엇갈리더라고요.

    ◆ 김한길> 우선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제가 다른 후보들께 여쭤봤는데요. 제가 말한 혁신공약을 다 보셨냐? 그중에서 꼭 빼야 될 게 혹시 있습니까? 라고 하니까 없다 그러세요. 그러면 거기에 꼭 더하고 싶은 게 있으면 말씀하시죠. 하니까, 한두 개씩 조금 다른 게 있지만 크게는 다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이제 제가 좀 다르게 생각하는 것은 하나하나의 혁신공약도 중요하지만 일단은 우리가 하나로 뭉치는 것이 혁신의 출발이다. 단합, 통합 이런 것이죠. 우리가 민주통합당이라는 간판을 내건 이래로 단 한 번도 제대로 통합을 이루어본 적이 없습니다. 우리가 서로 반목하고 불신하고 이렇게 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어떤 혁신을 한들 그 효과가 있겠는가.

    많은 분들이 이제 대선 패배 이후에 지적하시는 계파정치 이제 극복하자. 계파 간에 이렇게 서로 반목하고 불신이 깊은 것은 이거 넘지 않고는 다른 아무 것도 우리가 변화를 기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고요.

    또 하나는 이제 대선패배 책임론, 우리끼리 안에서 손가락질 하면서 당신이 더 책임이 크다, 나는 책임이 조금 밖에 없다. 이런 것은 이제 벗어나자. 우리 전체가 국민에 대해서 우리가 다 죄인입니다. 하는 자세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한 것이지, 우리끼리 자꾸 누군가를 상처 내려고 하면 그것이 곧 우리 민주당의 상처가 아니겠느냐 하는 생각이 하나 있고요.

    세 번째는 조금 전에도 잠깐 말씀을 하셨는데. 소모적인 이념 논쟁, 이제 그만하자는 겁니다. 우리가 진보니 중도니 좌니 우니 할 것이 아니라 서민과 중산층이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해 내는 정책제시, 이것이 가장 우선 하는 우리의 목표가 되지 않겠는가, 그렇게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 김현정> 지금 경선에서 논란이 되는 가장 뜨거운 부분, 세 가지를 지금 언급을 해 주셨어요.

    ◆ 김한길> 아, 그랬나요?

    ◇ 김현정> 일단 대선패배 책임론 말이에요. 이 부분이 오늘 아침 신문도 보셨겠지만 어제부터 보도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굉장히 뜨겁습니다. 민주당 대선평가위원회가 얼마 전에 발표한 대선평가보고서에서 누락된 부분이 하나 있었다. 바로 지난 대선에서 당 고위지도자들의 협력도 조사였는데 누가 얼마나 문재인 후보를 도왔는가? 이거를 점수 매겨보니까 김한길 당시 최고위원이 제일 기여도, 협력도가 낮았더라, 이런 보도가 나왔습니다. 보셨어요?

    ◆ 김한길> 저는 여기 지금 전주인데요. 못 봤어요, 못 봤는데. 그런 것이 있었다는 얘기를 말로 전해 들었거든요. 정말 그런 것들을 안 했으면 좋겠는 것이 제가 문재인 선대위에 참여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차단해서 제게 아무 역할도 주지 않았던 분들이 소위 벤치에만 앉아 있고 운동장에서 뛸 기회도 안 줘놓고 실력발휘 안 했다, 이렇게 말씀을 하는 것 같이 들리는데.

    그러나 어쨌든 우리끼리, 제가 이제 선대위에서 주도적으로 역할을 했던 분들, 이번에 당 대표 경선 텔레비전 토론회에서도 제가 한두 번은 하도 제게 책임론을 제기하기에 제가 선대본부에서 본부장으로 높은 자리에서 일했다고 더 책임이 크다고 말하지 않지 않습니까? 정말 우리끼리 자꾸 당신 더 책임이 크다, 이런 말 하지 맙시다.

    ◇ 김현정> 이제 그만하자 이런 말씀이세요.

    ◆ 김한길> 네. 제가 그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그래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 김현정> 한 가지 확인을 해 주실 것이 방금 전에 그러셨어요. 운동장에서 뛰고 싶어도 자리 안 주더니 이제 와서 왜 책임론 이야기 하느냐. 그 당시에 그러니까 선대본부에 들어가서 내가 무슨 역할을 해 보고 싶다, 적극적으로 돕고 싶었는데 자리가 없다는 말씀을 좀 해 보셨어요?

    ◆ 김한길> 해 봤죠.

    ◇ 김현정> 아, 해 보셨군요. 그런데 마땅한 자리가 마련되지 않았다?

    ◆ 김한길> 마땅한 자리고 뭐고 어떤 자리도 제게는 철저하게 차단하고 치른 선거였죠. 그래도 그냥 세상 사람들이 그래도 김한길이 대통령 선거를 비롯해서 큰 선거들은 그래도 가장 많이 치러본 사람이고, 가장 많이 이겨본 사람인데 그래도 김한길이가 지난 대선도 좀 지휘하는 자리에서 뭔가 하지 않을까 이렇게 생각하셨던 것 같아요.

    그러나 그런 자리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저는 저대로 제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해서 지금 당 대표 경선 요즘에 전국을 돌면서 하고 있지 않습니까? 저는 저대로 그 대선 때도 요즘처럼 전국을 돌면서 지원유세를 했거든요.

    ◇ 김현정> 지금 차단이라고 말씀하셨어요, 그러니까 누군가가 의도를 가지고 차단했다는 말씀이신가요?

    ◆ 김한길> 아마 그랬을 겁니다.

    ◇ 김현정> 왜 차단을 합니까? 이해가 잘 안 가서요.

    ◆ 김한길> (웃음) 저도 모르겠어요. 저도 사실은 안타깝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 김현정> 바로 그게 계파정치였다, 이런 말씀이신가요?

    ◆ 김한길> 하여간 제가 이 대선 패배한 이후에 우리끼리 자꾸 누가 뭐해서 그렇다, 이제 그런 얘기 그만하면 좋겠고, 이제는 정말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변해서 국민들로부터 다시 사랑받을 수 있는 민주당이 되겠는가, 그거에 대해서 말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질문도 사실 받고 싶지 않아요. 왜냐하면 자꾸 서로 이렇게 우리 내부에서 각을 세우는 역할을 자꾸 이렇게 강요하시는 셈이거든요.



    ◇ 김현정> 나에게 기회를 주지 않는 것에 대해서 오히려 좀 안타까움이 있다, 이런 말씀을 지금 해 주셨어요.

    ◆ 김한길> 그래요.

    ◇ 김현정> 또 한 가지는 변화와 혁신의 방향을 둔 논란인데요. 5월 4일 전당대회에서 당 강령을 개정하기 위한 작업을 지금 진행 중인데. 현재보다 조금 더 중도 쪽으로 가자는 분도 있고, 조금 더 진보 쪽으로 가자는 분도 있고 어느 쪽이 맞다고 보세요?

    ◆ 김한길> 그것도 이미 제가 조금 전에 말씀드렸는데요. 이제는 좌니 우니 진보니 중도니 하고 싸우지 말자는 거예요.

    ◇ 김현정> 그것도 하지 말자?

    ◆ 김한길> 네. 그렇죠. 서민과 중산층이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해 내는 정책제시, 이것이 우리 당의 최우선 과제가 돼야 된다. 그리고 여기에 집중하다 보면 우리가 일체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이 논쟁 자체가 굉장히 오래된 논쟁이잖아요.

    ◇ 김현정> 오래됐죠.

    ◆ 김한길> 그런 용어를 써도 좋은지 모르겠지만 런닝구와 백바지인가요? 그때부터 계속 이어져 온 것인데 이것을 우리가 어떻게 극복하느냐. 제가 말씀드린 대로 먹고 사는 문제, 해결하는 데 집중하다 보면 우리가 일체감을 찾을 수 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 김현정> 말하자면 실용으로 그 말씀으로 들리는군요.

    ◆ 김한길> 어떻게 해석해도 좋아요. 그리고 이게 패배의 원인도 이런 소위 좌클릭, 우클릭 이런 얘기하시지 않습니까? 이게 제가 영국의 토니 블레어를 만든 필립 굴드라는 당대 전략가 얘기를 인용해서 말씀드렸지만 좌쪽에 닻을 내리고, 중도를 점령하자. 그래야 우리가 이긴다, 큰 선거를. 사실 맞는 얘기거든요. 우리에게도. 그런데 진보니 중도니 하고 싸움만 하고 우리 내부에서. 이러다가 어떻게 큰 선거에서 이길 수 있겠습니까?

    ◇ 김현정> 강령을 놓고서 구체적으로 들어가 보면 또 논란이 있더라고요. 그 부분에 대해서 다들 크게 반대하시는 분은 없을 텐데, 예를 들어 한미FTA를 전면 폐지하겠라고 써 있는 강령 부분을 '한미 FTA 피해를 최소화하고 국민이 번영하는 통상정책을 추구한다.' 라고 완화하는 쪽으로 문구를 바꾸자 했더니 여기에 대해서 우리 정체성을 잃는 것이다, 또 이렇게 반대하시는 분들이 있어서요. 이런 구체적인 각론 부분에서.

    ◆ 김한길> 글쎄요. FTA를 우리가 반대하는 것을 강령에 분명히 해 놓고 있는 것을 바꾸자, 그런 주장들이 있는 모양이죠?

    ◇ 김현정> 강령 작업 중에 아마 그런 논의가 있는 모양입니다.

    ◆ 김한길> 그런 논의도 필요할 수도 있겠네요.

    ◇ 김현정> 공감하신다, 이런 말씀으로도 들리네요.

    ◆ 김한길> 제가 여러 번 당 대표 연설회에서 얘기합니다마는 앞으로 우리 당의 변화 중 하나가 가령 한미 FTA에 대한 입장, 반대냐, 재협상이냐, 찬성이냐, 이런 부분 있잖아요. 이것은 당 지도부 몇 사람이 둘러앉아서 우리 반대다, 이렇게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이런 정도의 국민적 관심이 집중돼 있는 정책사안, 또 우리의 정책지향성을 국민에게 보여줄 수 있는 사안, 이런 것은 앞으로는 전 당원투표제라든지 보다 많은 당원들의 의사를 확인해서 방향을 정하는 것이 옳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 정도로 중요한 사안은 전 당원투표제 같이 충분하게 여론을 모아서 결정하는 게 좋겠다, 이런 말씀.

    ◆ 김한길> 여론이 아니고 일단 우리 당원들의 뜻. 그것이 당의 입장이니까요.

    ◇ 김현정> 얼마 전에 출연하셨을 때 그러셨어요. '안철수 전 교수 지지자들을 아우르는 더 큰 민주당을 만들겠다.' 안철수 전 교수는 아직 당이 없습니다. 무소속입니다. 만약 4.24 재보선에서 안철수 후보가 당선이 된다면 민주당 입당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실 건가요?

    ◆ 김한길> 안철수 교수 문제는 너무나 안철수 교수 개인을 우리가 쳐다보고 있는 데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 김현정>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 김한길>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안철수 교수 개인이 아니라 안철수 교수에게 기대하고 박수 치고 있는 유권자 군들이거든요. 그런데 그분들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이 원래는 민주당 지지했던 분들이에요. 그런데 민주당에게 실망하고 지금은 안철수 교수에게 박수치고 있는 것이거든요.

    우리 민주당이 제대로만 변해서 정상적인 정당정치, 그것이 곧 새 정치라고 말할 수도 있을 텐데, 하는 모습을 보이면 지금은 안 교수에게 박수치고 있는 분들 중에 상당수를 우리가 다시 껴안을 수 있다. 그렇게 될 때 안철수 교수가 선택할 수 있는 폭도 대단히 제한적이 될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는 것입니다.

    ◇ 김현정> 그렇게 되면 안 교수가 신당 창당보다 오히려 알아서 민주당 입당 쪽으로 방향을 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 김한길> 그럴 때 안철수 교수하고 그런 얘기가 충분히 가능하다고 보는데요. 안철수 교수 개인만으로 우리가 어떻게 안든지 아니면 신당 창당을 우리는 상관하지 않든지 이런 식으로만 이 상황에 대한 해법을 가져가는 것은 맞닥뜨린 정치현실을 우리가 제대로 관리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홈페이지 바로가기]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