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기타

    오라는 곳 없는데 직업체험이라니…

    기업체 외면…지난해 120만명중 참가율 17% 그쳐

     

    박근혜 정부 들어 본격 추진되고 있는 중·고교 직업체험 활동이 기업체 등의 외면으로 부실하게 진행되면서 자유학기제 운영에도 비상이 걸렸다.

    26일 일선 중·고교 등에 따르면, 인천의 A중학교는 이달 초 프로게이머의 꿈을 키워오고 있는 학생들의 직업체험을 위해 업체들에게 방문할 수 있는지 여부를 물었다.

    서울에 있는 게임회사 10곳에 문의했으나 업체들 모두 학생을 받아 교육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거절했다.

    학교 측은 또 디자이너가 꿈인 학생들을 위해 여러 관련 회사와 접촉했으나 부정적인 답변만 되돌아 왔다.

    경기 지역의 B고교도 현장 직업체험 활동을 위해 기업체에 방문 타진을 했으나 번번이 거절당했다.

    업체들은 하나같이 바쁘다는 이유로 또는 학생들을 상대로 교육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라며 손사래를 쳤다.

    학생 직업체험에 문을 열어 준 중소기업이나 가게를 운영하는 상인 가운데 상당수는 추후 참여 의사가 없다는 뜻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문제다.

    서울 노원구 조사에 따르면 직업체험 활동 참여 업체 중 3분의 1가량은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앞으로 불참의사를 밝혔다.

    기업체 등의 참여의지가 부족해 직업체험에 나서는 학생들은 소수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지난해 진로체험에 참가한 중·고교생은 120만 명으로 이 가운데 직업체험은 16.9%인 63만 명에 불과했다.

    교육·연구 분야, 법률·공공 분야, 보건·의료 분야에 희망직종이 몰리는 진로쏠림 현상도 직업체험장 확보를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다.

    교육부는 박근혜 대통령의 교육분야 핵심공약인 자유학기제와 연계된 진로체험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중학교에 이어 올해는 고등학교도 1회 이상 진로체험을 의무화했다.

    그러나 이른바 ''일터'' 발굴이 쉽지 않아 교육현장에서는 불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교육부는 직업 현장체험의 어려움이 있는 만큼 중학교와 고교에서 각각 한 개 학년, 35% 정도 직업체험을 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나머지는 현실적으로 집단 견학이나 초청 강연, 직업인과의 대화로 채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직업체험 활동이 현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직업체험장 발굴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직업체험 활동이 자리잡지 못하면 자유학기제도 겉돌 가능성이 높다.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시행될 예정이다.

    자유학기제 시행에 앞서 직업체험을 위한 사회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편 직업체험 활동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세금감면 등 참여 업체에 대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