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북한 선박, 노후화로 정선조치 비율 높아"

 

북한 선박이 노후화로 인해 해외 항구에서 안전 결함 판정과 이에 따른 정선 조치를 받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선박을 관리·감시하는 기구인 아태지역 항만국통제위원회의 선박 안전검사 자료를 확인한 결과 2015년 한 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항구에서 안전검사를 받은 북한 선박 294척 중 293척에서 결함이 발견됐다고 미국의 소리 방송이 전했다.

이러한 결과는 100%를 실태는 자메이카에 이어 두 번째에 해당하는 비율이었다.

그러나 검사 대상 자메이카 선박이 북한의 7분의1 수준인 44 척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북한은 결함이 가장 많은 선박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드려났다.

캄보디아가 2028 척 중 2008척에서 결함이 발견돼 99%로 북한의 뒤를 이었고, 398척 중 392척에서 결함이 발견된 시에라리온은 98.5%로 네 번째를 기록했다.

결함이 발견된 북한 선박 중에는 지난 10월 중국 샤먼 항구에서 검사를 받은 봄산호가 항해안전장치 관련 결함 13건을 비롯해 서류미구비 5건, 화재 안전 4건 등 무려 46건의 결함 판정을 받아 가장 문제가 많았다.

이밖에 태룡강호와 손봉호 등이 20건이 넘는 결함이 지적됐다.

이들 선박들 중 일부는 개선 조치가 이뤄질 때까지 운항을 금지하는 정선 조치를 받았다.

북한은 293척 중 29척, 즉 10%에 해당하는 선박이 항구에 발이 묶이면서 13.6% 비율을 보인 시에라리온과 13%의 몽골 등에 이어 6번째로 정선 조치 비율이 높았다.

북한 선박들이 이처럼 결함 판정과 출항정지 조치 사례가 많은 건 선박의 노후화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같은 기간 안전검사를 받은 총 2093척의 선박 가운데 1694척에서만 결함이 발견됐고, 실제 운항정지 조치를 받은 배는 10척에 불과했다.

아태지역 항만국통제위원회는 선박의 안전과 해양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검사를 실시하는 국제협력 기구이다.

이 기구에는 한국과 일본, 중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와 를 비롯해 캐나다와 호주, 러시아, 칠레 등 태평양 바다를 끼고 있는 나라 등 모두 20개 나라가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 등 5개 나라는 옵서버 국가로 등록돼 있다.

0

0

전체 댓글 1

새로고침
  • NAVER저격단장2021-07-28 10:43:03신고

    추천0비추천0

    전국5단계해도 코로나19 확산 못막습니다.
    거리제한두시 실패한 방역입니다. 이제 그만하시고 모든걸 규제할려고 하지마시고 예방 정책으로 바꾸세요.
    1.개인과 자영업자 회사등에 방역을 교육시키고,
    2.방역용품을 무상지원해주세요.
    3.방역하는법을 교육시키세요.

    따라가는 방역하지마시고, 선 방역을 하세요. 일시적인 방역을 해서 해결될 코로나19 아닙니다. 생활화된 코로나19이기 때문에 전국민에게 방역법을 교육해야 합니다. 치료제와 백신은 차후의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