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해운 업계 100大기업 "둘 중 한 곳 존립 위태롭다"

기업/산업

    해운 업계 100大기업 "둘 중 한 곳 존립 위태롭다"

    빅2 매출만 51%…빅2 무너지면 국내 해운 업계 붕괴 가능성 커

     

    국내 해운 100大 기업 가운데 둘 중 한 곳 꼴로 회사 존립을 걱정해야 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위기 극복 시까지 외부 수혈이 있어야만 업계가 처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2만기업연구소(소장 오일선)에 따르면 작년 기준 해운 업계를 대표하는 100개社 중 51곳의 부채비율이 400% 이상으로 고(高) 위험 기업군에 포함됐다.

    51곳 중에서도 27곳은 작년에 영업적자 혹은 당기손실을 기록해 우선 위험 관리 대상 기업군에 포함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기준 해운 100대 기업의 평균 부채비율은 301% 수준이다. 또한 국내 해운 100社 중 빅2에 속하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매출 비중은 51%나 차지해, 두 기업이 무너지면 국내 해운업도 반 토막으로 쪼그라들 수 있는 처지다.

    이미 자본이 잠식된 기업은 13곳으로 확인됐다. 부채비율이 1000%를 넘는 곳도 18개사로 나타났다. 400%~1000% 미만 기업은 20곳이었다. 100곳 중 51곳이 부채비율 400% 이상 되는 고(高) 위험 기업군에 속했다는 의미다.

    선박 운용에 따른 부채비율이 높다는 해운업계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경기 상황에 따라 기업 존립 자체를 걱정해야 할 곳이 100곳 중 절반이나 될 정도로 심각한 위기에 처한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기준 해운 100개사의 총 부채액은 27조 6402억 원이었다. 이중 부채비율 400%가 넘는 51개 기업의 부채액만 해도 17조 7216억 원이다.

    업종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가 있긴 하나 통상적으로 부채비율이 200%를 넘으면 잠재적 위험 요소가 높다고 본다. 300% 이상이면 금융비용이 순이익을 깎아 먹는 수준이다. 부채비율 400% 이상 되면 기업이 존립하기 위태로운 고(高) 위험 기업으로 분류된다.

    2014년 대비 2015년 매출 규모도 27조 3035억 원에서 25조 8131억 원으로 1조 4904억 원(5.5%↓) 하락했다.

    매출 1조 원 이상 되는 대기업은 5개사로 이 가운데 빅2로 분류되는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작년 매출 비중은 51%나 차지했다.

    반면 87개사는 2000억 원 미만 기업으로 해운 업계의 경우 중견 기업 층이 매우 허약해 머리는 크고 꼬리는 가느다란 '올챙이형' 구조를 갖고 있는 셈이다. 때문에 빅2 기업이 시장에서 무너질 경우 국내 해운 산업 자체가 폭삭 주저앉을 수밖에 없는 처지다.

    해운 업계 빅2 기업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아킬레스건은 높은 부채비율이었다. 한진해운의 지난 해 부채비율은 817%이고, 현대상선은 1565%나 됐다.

    매출 외형은 컸지만 내실은 형편없었다. 현대상선은 2014년, 2015년 모두 적자를 면치 못했다. 한진해운은 2014년 211억 원 적자에서 2015년에 214억 원 흑자로 돌아서긴 했지만 매출의 0.3%밖에 안됐다.

    직접적인 원인은 높은 매출 원가에 있다. 출액은 5조 5093억 원에 불과했지만, 현대상선의 경우 2015년 매출 원가는 5조 6147억 원이나 됐다. 1만100원을 들여 물건을 만들었는데, 시장에서는 만원에 물건을 팔아 100원만큼 손해 본 장사를 했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이 지난 2011년 이후 지속됐다.

    매출원가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화물비와 용선료다. 때문에 이미 백기를 든 한진해운과 달리 현대상선 입장에서는 용선료 인하 협상에 사활을 걸어야 할 정도로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했다. 그러나 용선료도 향후 20% 이상 인하되지 않으면 큰 효과를 보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해운 회사 100곳 중 50곳은 2014년 대비 2015년에 매출이 주저앉은 반면, 나머지 절반은 매출이 상승했다. 한진해운(7688억 원↓), 현대상선(7623억 원↓), 유코카캐리어스(2116억 원↓) 등은 매출이 하락했다. 반면 에이치라인해운(2510억 원↑), 팬오션(2055억 원↑), 시노코페트로케미컬(1732억 원↑) 등은 한 해 사이에 매출이 상승했다.

    당기손익 규모는 2014년 대비 2015년에 크게 떨어졌다. 100大 기업 전체 2014년 당기손익은 9051억 원이었으나, 작년에는 거꾸로 5043억 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직원 수는 한 해 사이 1.6% 정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해운 100대 기업 전체 직원 수는 1만 2204명이었다. 2015년에는 1만 2014명으로 1년 사이에 190명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2014년 대비 2015년에 가장 많은 직원을 감축한 곳은 ‘한진해운’이었다. 앞서 회사는 2014년 1661명에서 2015년 1464명으로 197명 줄였다.

    다음은 '금양상선'으로 126명에서 61명으로 51.6%가 회사를 떠나는 등 중소 해운 업체일수록 한 해 사이에 많은 인력 구조조정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해운업계 매출 원가에서 차지하는 종업원 급여는 2.1% 밖에 안 된다. 이는 인력 구조조정을 한다고 해서 경영 실적이 크게 호전되지 못한다는 의미다. 때문에 인력 구조조정으로 위기를 타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이번 조사는 금융감독원의 '외항 해상 운수업'으로 분류된 업종으로 각 기업의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이뤄졌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