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글로벌 생산기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 중

경제 일반

    글로벌 생산기지,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이동 중

    베트남은 노동집약형, 중국은 첨단·고부가가치 산업기지로 재편될 듯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타결, AEC(아세안경제공동체) 출범 등 최근의 국제통상 환경변화에 세계 주요기업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려는 기업들이 크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OTRA(사장 김재홍)는 26일 ‘국제통상 환경변화와 글로벌 생산기지변화 동향’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삼성전자, 도요타 등 27개 기업이 주요 글로벌 생산기지 6개국(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멕시코)에 최근 2년 동안 진출했거나, 향후 2년 내 진출을 추진 중인 31개 이전 사례를 분석했다.

    조사 결과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려는 기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1개 사례 중 절반에 가까운 15개가 베트남을 진출 희망지로 선택했고, 베트남을 떠나려는 기업은 1개에 불과해 순유입기업 수는 14개를 기록했다.

    순유입기업 수 2위인 멕시코의 3개와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그 동안 세계의 공장으로 불렸던 중국의 순유입기업 수 -8과도 크게 대비된다.

    중국으로 진출하려는 기업이 3개인데 반해, 중국을 떠나려는 기업은 11개로 나타나 중국에서의 기업 이탈현상이 뚜렷하다.

    이전 사유 총 45건 중 무역협정 활용을 위해 이전하는 경우가 23건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TPP 활용이 14건으로 가장 많아, 기업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비즈니스 환경변화로 12건인데, 이 중 인건비 절감을 위해 이전하려는 경우가 9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글로벌 생산기지 재조정 등 경영전략 차원에서 이전하려는 경우도 10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업종별로는 섬유의류 분야가 14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전자제품 5개사, 가전제품 2개사, 자동차 2개사가 뒤를 이었다.

    KOTRA는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이전동향을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국별, 산업별 국제 분업구조가 새롭게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을 중심으로 한 동남아시아 국가의 경우, 섬유·의류·신발, 가전제품·휴대폰, 기계부품 분야에서 강점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고, 중국은 반도체, 항공, 화장품 등 첨단·고부가가치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구조가 재편될 것으로 내다봤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국제 통상환경 변화가 가져올 업종별 국제 분업구조 재편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하며 "특히 베트남과 중국의 활용방안을 새롭게 정립할 때"라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